Unix/Fedora Core 4 101

무선랜 연결하기 - 2: 하드웨어 제어하기

재부팅을 하지 않았다면, 다음 단계를 밟은 뒤 해보는것도 좋다.일단은 무선랜이 제어가 잘 되는지 확인해본다. # iwconfig scan이렇게 쳤을 때, 무선랜이 주변을 싹 스캔해서 어떤 AP (access point)가 있는지 훑어온다면 성공이다. :D 아마 안 될 것이다. 왜냐... wlan0인터페이스를 인식시키지 못 했기 때문.# ifconfig wlan0 up이라고 친다. 그 뒤 다시 스캔을 뿌려본다. 되면 다행 안 그러면... 1단계에 소개한 것 처럼 위키와 Howto와 며칠이고 싸워야 할지도 모른다. 특히나 하드웨어 소개 사이트에서 지원이된다고나온 경우는 더더욱. 근성이 필요하다 -_-; 성공을 했다면, 지금 테스트로 시작 -> System Settings -> Network여기를 확인해보자...

Unix/Fedora Core 4 2006.02.27

무선랜 연결하기 - 1: HW설치

필자는 D-Link의 DWL-120+를 쓴다. 각각 하드웨어는 다르겠지만, 대략 참고는 될 것이다. 일단 하드웨어를 설치할 때에는 공식사이트에 제일 먼저 가보는 것이 예의다.확인해보니 리눅스 용은 없다. -_-;(nVidia나 ATI같은 곳에는 리눅스 용도 드라이버가 있다.) 무선랜이 연결 안 되어서 어떻게 다운받나고요? 어디선가 다운 받아서USB에 저장하면 된다 -_-;아니면 크로스 케이블을 써도 좋다... 있다면 -0-http://blog.naver.com/ssanzing2/140022134960 그래서...http://www.linux-drivers.org/에 접속했다.wireless를 확인해봄.http://linux-wless.passys.nl/이 곳에 가니 쭈욱 정보가 있었고, dwl-120+는..

Unix/Fedora Core 4 2006.02.27

USB 저장매체 다루기 (USB메모리, 디카, MP3P)

윈도우즈 XP에 꽂았을 때 전용 관리기를 쓰지 않으면 USB 저장소로 인식 되는 것은리눅스에서도 역시 USB저장소로 쓸 수 있다. 매우 간단하게, KDE에서는 꽂으면 바로, 마치 윈도우즈에서 그러는 것 처럼어떤 창이 나오면서 열까 말까를 물어준다. kde의 경우, system에서 storage media에 보면 usb가 (하드디스크 형태로) 엑세스 할 수 있게 되어있다. 커맨드에 익숙하다면 마운트를 해도 좋다. 이런 usb저장소는 sata하드와 마찬가지로sdxy (x는 a~z, y는 0-255?)까지의 숫자로 인식된다. y는 파티션, x는 장치 중 어떤 장치인지에 따라 고유하게 부여받는 알파벳이다. 예를 들자면# mount /dev/sdc /mnt/usb파티션이 하나밖에 없기 때문에 숫자는 부여되지 않았..

Unix/Fedora Core 4 2006.02.27

다크사이드 - 1. x디스크 류의 웹디스크

굳이 다크사이드가 아니더라도 웹 저장소는 백업 용도로 하나 있을 만 하다.매우 유감이지만, 그놈의 액티브 X를 쓰는 웹디스크는 안 될 확률이 높다. 그런 의미에서 리눅스와 매우 싱크로율이 높은 곳을 하나 추천하자면.www.webhard.co.kr데이콤 웹하드. 액티브엑스를 전혀 안 쓰는듯.물론... 리눅스용 접속기는 엔터프라이즈에서만 제공된다 ㅜ,.ㅠ;;그래도 되는게 어디냐 싶다. 매우 유사한 곳이지만...www.wiseget.com여기는 액티브 x를 써서 안 된다. -0-;; 그러면 이제 좀 대세인 곳에 가보고자 한다. 사실 필자는 이 부분도 잘 모른다. -0-;;;www.clubbox.co.kr클럽박스. 선정 사유: 필자는 이 곳 밖에 몰라서 -0-후레쉬맨도 검색해보면 나오는 등 흥미로운 곳이다. (..

Unix/Fedora Core 4 2006.02.27

그림/사진/만화 보기

알씨를 쓰던 사람은 알씨가 그리울 것이다. 리눅스에도 그런 것이 있을까?있다.KDE에 있는 kwick show는 너무 퀵에 치중한 나머지 다른 기능이 거의 없다 -0- 그래서 다른 프로그램들을 찾아보면... -------------------------------------------------------------------------gqview, GTKSee, gthumb과 GImageView가 있다.소개한 것들이 거의 다 G계통이네 -0-;; Gnome용이라는 뜻이다. 하지만 KDE에서도 되지... gqview는 대단한데, 화면설정이 자유롭다는 것이다. Preference에 들어가서 Windows탭에 간다. Layout에 들어가면 일단 모양을 설정할 수 있고, 그 다음 어느 위치에 어느 요소가 자리..

Unix/Fedora Core 4 2006.02.27

Cedega, CrossOver

둘 다 와인과 관련있는 프로젝트이다. Cedega는 와인을 게임용으로 튜닝해 놓은 것이다.얘네들은 상업적인 짓을 하면서 이익을 보는데, 애초에 이 일을 시작하게 해준wine프로젝트에는 아무런 보답도 안 한 모양이다 -0-; (그 보답이 금전적일 필요는 없다. 기술적으로 어디는 어떻게 프로그래밍하면 더 좋은지, 버그를 잡아준다든지... 이런 것도 보답에 들어간다.) 이 이후로 열받은 와인이아무런 보답이 없이 상업적 이용을 하지 못하게 한 라이센스로 변경했다고 한다.그런데 안 해봐서 잘 모르겠다. CrossOver이건 오피스 중심으로 한 것이다. CrossOver로 오피스 따위나 돌리느니 차라리OpenOffice를 받아 사용하기를 권장한다.역시 써보지 않았지만, CrossOver에서는 액티브 X도 되는 모양..

Unix/Fedora Core 4 2006.02.27

카트라이더 시도

http://blog.naver.com/ssanzing2/140022123864 : 와인http://blog.naver.com/ssanzing2/140022124927 : 익스플로러와인을 설치하고 익스플로러를 설치한 뒤에, 장난끼가 발동했다. 과연. 카트라이더는 설치라도 할 수 있을까? kart.nexon.com에 접속했다. 익스플로러에서 돌아가는 플래쉬라 매우 느렸다.꾹 참고 넥슨에서 제공하는 액티브 x를 깔았다.로그인 뒤 카트라이더 실행을 눌렀다. 결과: "다이렉트X 9가 없어서 안 되셈"

Unix/Fedora Core 4 2006.02.27

윈도우 폰트 설치하기

일단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윈도우 폰트를 리눅스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http://blog.naver.com/ssanzing2/140022129369여기에서 설명한 대로 NTFS파티션을 마운트 하든지, 버츄얼 컴퓨터를 쓴다면http://blog.naver.com/ssanzing2/140022123229여기서 설명한 대로 삼바를 쓰든지 한다. 시작 -> Control CenterSystem Administartion -> Font Installer여기에서 Add fonts버튼을 누르고, 복사한 폰트를 모두 골라주면 설치 끝. gaim이나 kopete에서 글꼴을 gungsuh를 골라주면 상대방 메신저에서 궁서체가 잘 보이는 모양이다. 그러나 윈도우를 쓰는 상대방이 궁서를 쓰면 인식하지 못한..

Unix/Fedora Core 4 2006.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