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53

올해는 공포영화 실종 ㅋㅋㅋ

작년에, 포스터만 봐도 구릴 거라는 느낌이 물씬 드는 "요가학원"을, 친구 기다리려고, 시간이 딱 맞고 적당해서 봤던기억이 난다. 나오면서는 이를 갈았다. 여주인공 / 여주인공 남친 / 악당(?) 귀신(?)의 과거 어느 것 하나 제대로 제시된 게 없다. 수많은 약점 중 몇가지만 나열하면 - 여주인공은 학원의 금기를 어기는데도 살아남는다. 왜?!?!?;;;;;;;; (통화 금지인데 남친과 통화한다). - 금기를 어기면 죽는건가? 하지만 끝에 나머지 여자수강생들이 또 나운다. - 금기를 안 어겨도 사실 죽을듯. 학원 원장한테 영혼을 뺏겨서 ㅡ,.ㅡ;; - 남친은 바깥에서 과거를 파헤치다가... 안나오고 -_-;; 파헤치는 척만하고 더 안 나온다. 여친이 요가학원을 탈출하고 어떻게 되었는지도 모르겠음 -_-;..

thoughts 2010.07.02

pidgin nateon 윈도우에서 컴파일 하기 - cygwin

pidgin-2.6.6 기준이다. 왜냐. 우분투 10.04에 딸려온 pidgin에 맞추려고;; 우분투에서 pidgin-nateon을 컴파일 해봤기 때문에 윈도우에서도 똑같이 하려고 한다. http://reznoa.wo.tc/blog/449 그동안 여러번 컴파일 시도를 했지만 못하고 있었다. 이 글이 힌트가 되었음. http://dev.haz3.com/trac/nateon/wiki/Build/Mingw 물론 원래 글의 과정은 이전에도 몇 번 해봤기 때문에 해독할 수 있는거였다. 1. cywgin 환경을 갖춘다. http://developer.pidgin.im/wiki/BuildingWinPidgin/Pre2.7.0 위 링크를 따라하면서 cygwin 패키지가 뭐가 필요한지 잘 보면서 필요 패키지를 다 갖춰놓..

pidgin 쪽지에 답장기능을 달자? 패치 제작기 -_-

pidgin에 답장 기능이 생기기를 기다리고 있는데 (더불어, 메일주소 말고, 어떤 놈이 보냈는지 보는 기능도), 도저히 안 생긴다. 내가 건드려 보고, 패치를 보내보기로 했다. 핧핧핧 리눅스 유저인지 이제 2년쯤 되어가는데 한번 해볼만도 하지 (?). 행복 전도사 버전: 리눅서면 패치도 한번 만들어 봐야 하잖아요! 코딩을 모르면 리눅서가 아니잖아요? 그냥 컴맹이지 ㅋㅋ. 다들 표정들이 왜 그래요? hello world 한번도 컴파일 안해본 사람들처럼!! 일단 소스코드를 받고... pidgin-2.7.1.tar.bz2 였음. ./configure 통과하기 ./configure 를 하는데 통과가 안된다. intltools를 패키지로 설치하고 (없다고 그래서) XScreenSaver extension dev..

Unix/Ubuntu 2010.06.11

rdiff-backup : 백업의 신세계 ㅋ0ㅋ

btrfs 파티션에 snapshot을 찍는 것도 좋지만 btrfs같은 아직 실험적인 것을 쓰다니 ㄷㄷ rsync는 좋긴 한데, 가장 최근의 것만 보인다는 단점이 있다. 과거 기록이 남지 않는다는 것. rdiff-backup을 쓰면 변화를 기록하기 때문에 용량도 절약되고, 훨씬 안정적이다. 백업이, 과거의 것 까지 접근할 수 없으면 좀 무용지물임. 실수로 지운 파일이, 지운 상태가 rsync로 싱크 되면 그 파일은 살리지 못하니까... - rsync처럼 가장 최근 파일은 바로 접근 가능하고, - 언제적 백업을 살릴지 지정하는 명령어도 있고 - 얼마 이전의 백업 기록은 삭제하라는 명령어도 존재함. (하드가 꽉 차면 안 되니까) - rsync보다 명령어가 간단하다.

Unix/*Nix계통 팁 2010.06.06

서버에서 백업의 중요성

교수님께서 오늘은 실수로, 모든 강의자료를 삭제하셨다. 교수님은 서버에 자료를 보관하신다능... 그나마 다행인 것은, 새벽4시에 백업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레이드만 믿고 있으면 하지 못하는 일임. good... 그러나 단 하루전의 모습만 저장되는 탓에 오늘 이 사건이 있은 후 7일치 분량까지 백업되도록 설정해두었다. rsync로 0 -> 1 -> 2 -> 3 -> 4 -> 5 -> 6 -> 7 이렇게 하나씩 밀리면서 백업되는 구조로 해두었다. 용량이 많이 들지만 끙... btrfs는 스냅샷 기능이 있으므로 안정화 되면 용량 낭비가 적게, 그리고 더 잦은 백업이 가능할 것이다.

plowshare - Command line 프로그램으로 Rapidshare, Megaupload 파일 받기

Rapidshare같은 데에서 파일을 받으려면 상당히 힘들다. Firefox플러그인 같은 것을 설치해도, 컴퓨터 한 대로 하면 대기시간이 너무 길다 -_-;;... 서버까지 동원하면 어떨까 (? 그러라고 준 서버가 아닐텐데 ㅋ0ㅋ) Megaupload, Rapidshare, 2Shared, 4Shared, ZShare, Badongo, Divshare.com, Depositfiles, Mediafire, Netload.in, Storage.to, Uploaded.to, Uploading.com, Sendspace, Usershare, X7 이런데가 지원된다고 한다. 무려 그래픽 브라우저가 없는 Command line 환경에서 쓸 수 있다능... 우분투에서는 http://ubuntu-blog.com/dow..

Unix 2010.06.01

스마트폰이란건 좀 좋은듯 : IMAP

스마트폰이 나오고서 웹메일의 트렌드"도" 달라졌다. POP3도 잘 제공하지 않던 녀석들이 IMAP을 제공하기 시작한 것이다. 지금 보니 네이버와 다음이 IMAP을 제공한다. gmail에서는 오래전부터 하던 것인데... 뭐 환영하는 바임... 그렇게 할 수 밖에 없는 것이 스마트폰의 메일 체크 app에서 imap으로 보아야 웹메일에서 보는거나 데스크탑에서 아웃룩 같은 것으로 보는거나, 스마트폰으로 보는 것이나 메일이 sync 맞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학교메일에서도 제공하란 말이야 이것들아!! 내가 운영하는 연구실 서버는 제공함 ㅡ,.ㅡ

thoughts 2010.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