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x 732

Ubuntu 10.04에서 Realtek 8192SE 되게 하기

9.10에서는 하드웨어 인식조차 안 된다. 10.04로 업데이트 하니 되는 척 해서 좋아했지만 결국 훼이크였다. 제대로 되게 하려면 다음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해갤책: http://ubuntuforums.org/showpost.php?p=8335065&postcount=2 http://www.realtek.com.tw/downloads/downloadsView.aspx?Langid=1&PNid=48&PFid=48&Level=5&Conn=4&DownTypeID=3&GetDown=false&Downloads=true#RTL8192SE 드라이버를 realtek 사이트에서 소스코드 형태로 받는다. 2010/03/11 버전이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는 가장 최신 버전이고 작동을 잘 한다. 컴파일과 설치는 아래와 같..

Unix/Ubuntu 2010.03.19

GDB 스크립팅

아래 코드는 gdb -x gdb.scr (gdb.scr로 저장한 경우) 로 실행시킬 수 있다. file bst # bst라는 executable file을 대상으로 함. define watchNode # 나름의 subroutine을 정의했음;; 여기서 정의한 watchNode라는 명령어는 end가 나올때 까지 나오는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임. set $me = this print this print area print ms print &area print &ms #watch area #watch ms end break bst_header.h:167 # 브레이크 포인트 걸기 commands 1 # break point 1이 걸리기만 하면 자동으로 수행할 명령어 set watchNode contin..

Unix 2010.03.05

Ubuntu 9.10 나비 버그 컴파일 하여 해결하기

나비 버전이 낮아서, 나비가 트레이로 들어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소스코드에서 컴파일 해보자 -_-;; 필요한 패키지가 몇 개 있다. # apt-get install build-essential libgtk2.0-dev libhangul도 필요한데, 패키지로 제공되는 버전은 낮아서 최신의 nabi와 맞지 않는다. http://wiki.kldp.org/wiki.php/libhangul 로 들어가서 최신 버전을 받는다. $ ./configure $ make # make install조합이면 된다. http://kldp.net/projects/nabi/ 나비 역시 최신 버전을 받고 컴파일 한다. 역시 configure, make, make install이면 해결. 나비를 입력기로 선택해 줘야 하는데... im..

Unix/Ubuntu 2010.03.05

C&C 타이베리안썬+파이어스톰을 우분투에서 하자.

http://www.commandandconquer.com/classic 프리웨어로 풀려서 이제 누구나 설치해서 멀플까지 할 수 있게 되었다. 리눅스에서도 멀플까지 되나?? 그건 모르겠다. 아직 안 해봤음. 근데 게임들은 왜 소스코드 공개를 잘 안하는거지;; 저런 게임들 앞으로는 안 만들텐데 ㅡ,.ㅡ... 그런 점에서 iD 소프트웨어는 정말 대인배임. 우선은 파일을 받는다. 압축을 푼다. 와인이 볼 수 있도록 ~/.wine/drive_c/Program Files/EA Games/Command & Conquer The First Decade 이렇게 되도록 적절히 압축을 푼다. 레지스트리 때문에 반드시 이렇게 풀어야 할 듯 하다. 레지스트리를 추가하라는데... tibsun_regadd.reg 이런게 있군. ..

Unix/Ubuntu 2010.02.28

Btrfs 테스트 2

또 btrfs에 도전. LVM에 대해 분노했음. -_-;; 운영체제는 Ubuntu 9.10에서 하다가 불안정해서 Debian Sid (더 최신 커널)로 옮김. btrfs로... 괜히 이상한 raid하지 말고, meta data만 raid1, 실제 자료는 raid0로 용량만 크게 확보하기로 함. raid0하다가 디스크 하나 날아가면, 날아가는 자료만 날아가고 멀쩡한 하드의 자료는 살아남는 것이 목표. 가상 컴퓨터가지고 하기 귀찮다. 1G짜리 파일을 생성해서 하기로 했음. dd if=/dev/zero of=span4 bs=1 count=1 seek=4096M ls -lh로 확인하면 순식간에 4기가 파일이 생겼음을 알 수 있다. span1: 1G span2: 1G span3: 2G span4: 4G 이렇게 생..

Unix 2010.02.27

LVM에 대한 분노

크어어!!!! 역시 복잡한 시스템은 관리가 안 되어서 오래 못 가는구나!!!;;; 그러니까 ATM보다 Ethernet이 성공한거지... -_-..;; 시스템을 짠 놈(=나)이 시스템을 자폭시켰다 ㅠㅠ 가장 큰 문제점은 volume group, logical volume, file system으로 이어지는 과도한... 너무 다단계(?)라는 점이다. 실제로 서버가 하드 하나가... S.M.A.R.T기능이, 곧 디스크가 뻑난다고 알려주더라. 그래서 디스크 교체를 하려고. 새 디스크를 볼륨그룹에 넣고, lvextend로 볼륨을 extend했다. 그러나... 뻑나가는 디스크를 뺄 때가 문제였다. lvextend를 해선 안되는 것이었다!! 새 디스크를 빼지도, 뻑나가는 디스크를 빼지도 못하는 요상한 상황이 된것이었..

Unix 2010.02.27

리눅스 다른 디스크/파티션으로 복제하기

우분투 9.10으로 테스트 해보았음을 알린다. Debian Lenny에서 업그레이드 한 Sid에서도 해봤다. Clonezilla Live로 파티션 to 파티션을 해봤는데 안 돼서 이 방법으로 진행했음도 알린다. 왜 동작 안 했는진 모르겠다. target 파티션을 포멧하지 않고 크기만 잡아놓아서 그런지도 모르겠다. 리눅스는 착해서 윈도우랑 달리 파일만 잘 복사해주고 boot loader만 잘 설정해주면 어디에 깔려있든 그다지 구애받지 않는다. 윈도우는 첫 디스크(=리눅스로 치면 /dev/sda)가 아니면 절대로 망함 ㅇㅇ;; 일단은 시스템의 사용을 막기 위해 gparted live같은 것으로 부팅을 한다. UNetbootIn을 사용하면 iso -> usb로 부팅 USB쯤은 쉽게 제작할 수 있다. gpart..

Unix/Ubuntu 2010.02.24

데비안 Lenny(Sid) 에서 윈도우랑 파일 공유하기

Lenny에서 Repository를 바꾸고 "업그레이드" 하여 설치한 Sid임을 밝혀둔다. OpenSUSE 11.2에서도 권한 문제로 비슷한 문제를 경험했다. 우선 설치해야 할 패키지는 # apt-get install nautilus-share패키지이다. 그러나 삼바 패키지를 알아서 설치하는 것 처럼 보이는 것과 다르게 정작 필요한 패키지인 # apt-get install samba패키지를 설치하지 않아서 "Sharing service installation has failed. Would ou like to retry ..." 이런 메세지가 나오게 될 수도 있음. 미리 설치해두자. 로그아웃 했다 로그인 하면, 폴더에 오른클릭을 했을 때 공유 메뉴가 보이게 될 것이다. "권한이 없어서 공유를 추가할 수 ..

Unix/Debian 2010.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