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x 732

openSUSE 11.2 코덱 설치

openSUSE에서는 packman본좌의 코덱 패키지 repository를 쓰지 않으면 도저히 재생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가 없을 것이다. -_-;; 우분투가 사기적으로 쉬운 것이지, 보통 리눅스는 이런 식으로, 어떤 본좌가 멀티미디어 코덱을 컴파일 해놓으면 다른 유저들이 받는 식으로 되어 있다. 회사에서 배포하는건 좀... 그런가보다. http://en.opensuse.org/Additional_YaST_Package_Repositories 이 글을 컨닝해서 팩맨 본좌의 repository를 추가해둔다. http://forums.opensuse.org/new-user-how-faq-read-only/407184-multi-media-restricted-format-installation-guide.htm..

Unix/openSUSE 2009.11.07

OpenSUSE 11.2에서 pidgin-nateon 컴파일하기

pidgin-nateon 패키지가 없어서 직접 빌드했다. http://nateon.haz3.com/ 우선은 소스코드를 subversion으로 체크아웃 하는 것에서 시작. INSTALL에 적힌대로 우선은... $ ./configure --prefix=/usr ... configure: error: GNU gettext tools not found; required for intltool --prefix=/usr 왜 이게 붙는고 아니, 저기 설치되어야지 pidgin에서 인식되기 때문이다. 배포판마다 다를 수 있는데 우분투/데비안도 저랬는듯. * 64bit 버전을 쓰면 prefix외 다른 옵션을 줘야 한다. 아래를 계속 읽어볼 것. 그러나 순탄치 않다. 첫번째로는 gettext에서 에러가 난다. gettext..

Unix/openSUSE 2009.11.06

openSUSE 11.2에 VirtualBox 설치하기

Virtual Box 홈페이지에서 받은 패키지 기준이다. 패키지를 설치하려면 dependency때문에 설치가 안 될 것이다. 필요하다는 패키지를 설치해 주면 일단은 설치가 되고 넘어가고 실행은... 안된다 -_-;; 그 필요한 패키지가 pam-devel인가 그렇다. 버철 박스는 뜨는데, 가상머신을 돌릴라 치면 에러가 난다. 커널 모듈 때문에 일어나는 일이다. http://ryan.rawswift.com/2009/01/27/suns-virtualbox-on-opensuse-111/ 이 분의 글대로 진짜, 가지가지 한다. kernel-source 패키지와 gcc, make를 설치해야지 된다. 그리고... # /etc/init.d/vboxdrv setup이번에는 아주 실행 자체가 안 된다. Konsole에서 ..

Unix/openSUSE 2009.11.06

우분투 9.10 삽질

http://opensea.egloos.com/5105723 우선 현재(2009.11.02) 데비안 sid도 그렇지만... 나비가 트레이로 들어가길 거부한다. (ㅠㅠ) 플래시에 클릭도 안 되는 퐝당한 버그도 있고. (이거 테스트 해보고 내놓는건...가? 아니, 테스트 해보긴 하는데 반영이 안 되어서 나온다고 원글에 적혀있다.) 글에 적혀있으니 또 적기는 귀찮고, 없어질까 두렵기는 하므로 pdf로 덤프만 해두겠다?

Unix/Ubuntu 2009.11.02

우분투에 마도베 나나미 테마를 설치해 보았다

윈도그에는 마도베 나나미 테마가 비스타용/XP용으로 나왔는데, 우분투라고 손가락만 빨고 있을 수 없다! 리누스 토발즈도 하앍하앍 하는 마당에 http://alaska-sama.deviantart.com/art/Nanami-Madobe-for-Ubuntu-141306859 우선 테마 파일은 여기서 다운노동 받을 수 있다. 사운드와 배경화면이 들어있다. 바탕화면이 세 개 들어있는데 wallpapoz 를 사용하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바탕화면이 자동으로 변하게 할 수 있다. (윈도우7에는 그냥 되는 모양 ㅜㅜ). 우분투 패키지에는 없고 수작업으로 설치해야지 된다. 이 과정이 어렵지는 않으니 겁먹지 말자. ** Gnome이나 KDE 버전이 충분히 높으면 그냥 가능하다. Ubuntu 기준으로는 9.10부터, 바..

Unix/Ubuntu 2009.10.28

BTRFS 테스트

BTR은 Butter 라고 읽는다. 솔라리스에서 ZFS를 무지무지 부러워 했는데, 그럴 필요는 없을듯. ZFS의 기능을 거의 다 가지고 있는 file system이다. 아직 완성되진 않았다. -_-;;; 미리보기 성격이 강한 글이라고나 할까? 하지만 리누스 토발즈가 자기 노트북에 BTRFS를 쓴다고 하니... 좀 시도해보도록 하겠다. Kernel 소스코드에 병합된지도 올해고 아마 1~2년 내에 ext4처럼 default로 지원하게 될 것이다. 현재는 아직 ext4보다 느리다 ㅡ,.ㅡ; 속도를 원한다면 써서는 안 되는 파일시스템임. 그냥 BTRFS를 쓰기만 하면 좀 재미 없을 듯 해서 -0-...;; 디스크가 여러개인 상황을 가정해보기로 하겠는데... 필자는 컴퓨터가 여러대인 상황을 가정해보려고 한다. -..

Unix 2009.10.18

Xrdp 우분투에서 쓰기

정말... 간단했다. http://blog.naver.com/timberx/30035099430 VNC 서버가 설치되어 있다는 전제 하에. 설치가 만약 되어 있다면, 시스템 -> 기본 설정 -> 원격 데스크탑 이 보일 것이다. 원하는 대로 옵션을 좀 걸어주자. # sudo apt-get install xrdp # sudo /etc/init.d/xrdp start이렇게 xrdp도 설치... 이제쯤 mstsc로 접속할 수 있을 것이다. 두둥? Xvnc를 설치하면 따로 다른 설정을 안 해도 된다. tightvnc를 쓸 수도 있고, vinovnc를 써도 되는데... vino는 ubuntu에 기본으로 딸려오는 vnc 서버로서 gnome에 아주 내장되어 있다. Vino VNC: 이는 시스템 -> 기본설정 -> 원격..

Unix/Ubuntu 2009.10.18

맥북에선 네스팟을 쓸 수 있다고?

http://850219.com/73 두둥? 리눅스에서도 네스팟을 쓰려면 이론상으로, 맥과 마찬가지로 802.1X + EAP-MD5 인증을 사용하면 될 것이다. 근데 오늘 시도해보니 안 된다. 뭐냐면 MD5랑 802.1X는 있는데 802.1X WEP이 없다 ㅡ,.ㅡ;;; 처음엔 보안을 사용할 생각도 안 하고, 다른 네트워크에 보안 건 다음, 그걸 NESPOT에 해보고 난리 좀 쳤다... 만 결국 실패. 언젠간 하고 말껴. 맥에대한 자료는 많은데 리눅스에서 성공했다는 자료는, 필자의 블로그에서도 이미 언급한 Mac Address로 했다는 그거밖에... "현재 공식지원하지 않습니다"면 언제쯤 할건데 윽 -_-

Unix 2009.09.24

Ubuntu 서버에 Synopsys tool 설치하기

Red Hat 리눅스 중심이라서 설치에 굉장히 고생할 줄 알았다 -_-;; 게다가 64bit서버... 그러나 별로 상관 없었다? Synopsys Installer라는게 있는데 그걸 실행할 수 있게 만든다. 프로그램이 무슨 tar파일에 배포되는데 그걸 그냥 압축해제하지 말고, 그 파일이 있는 곳에서 installer를 루트 권한으로 실행시킨다. 마법사의 yes/no를 잘 대답한다. 주의사항: X윈도우가 사용 가능하게 포워딩을 설정하든지 해야만 인스톨러가 실행이 될 것이다. 안 그러면 gg 설치와는 별개로. 툴 자체가 실행되느냐는 또 다른 문제다. apt-get install ia32-libs 로 32비트 라이브러리도 설치해야지 비로소 실행이 될 것이다. 이 정도만 하면 됨 -_-;; 골치아프지 않다. 참 ..

Unix/Ubuntu 2009.09.21

날짜 계산하기

백업을 하다보면, 7일전의 날짜것을 지워서 최근 7일간의 압축파일만 두고 싶을 때가 있을 것이다. 오늘의 날짜도. 그런 때에는 date명령어를 쓰는 것이 가장 편하다. 아래 스크립트는 필자가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스크립트인데, 굵은 글씨를 해놓은 부분이 날짜를 계산하는 부분이다. 날짜 형식은 "2009.09.01" 이런 식이다. #!/bin/bash # # configuration # home=/home/special/ddd archive_cnt=7 # # main # # make names now=`date +%Y.%m.%d` # current date newdir=taengu-$now newzip=$newdir.zip old=`date -d "$archive_cnt days ago" +%Y.%m.%d..

Unix 2009.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