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x/Ubuntu 112

IP공유 서버 만들기

IP가 부족해졌다. 보통 해결책은: 그냥 공유기 하나 사시오 ㅡ,.ㅡ;; 하지만 학교환경은 다르다? 1. 물건을 사자니 귀찮고 (서류를 내야 하니까) 2. 컴퓨터는 썩어나고, 랜카드도 남아돈다. Windows 2003을 쓰면 쉽지만 학교에서는 합법적으로 서버를 운영해야 하므로... (돈 주고 사는건 역시 낭비고) 운영체제는 가볍게 Ubuntu 7.04를 선택. WRT-54g IP공유기 설명서를 보면 Router NAT Network Switch 이 세개가 합쳐진 것이 이 공유기라고 적혀있다 ㅡ,.ㅡ 그래서 다음과 같은 준비물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준비물: Network Switch: 있다. 단순히 랜선 구멍을 여러 컴퓨터에서 쓸 수 있도록 확장해주는 용도로 그동안 쓰던 것. NAT: 컴퓨터로 쓸거다...

Unix/Ubuntu 2007.09.10

패키지 관리

기본적으로 aptitude를 사용하게 된다. $ sudo aptitude yum처럼 sudo aptitude update를 해줄 수 있지만 위 처럼 aptitude만 달랑 실행시키면 메뉴 인터페이스를 볼 수 있을 것이다. sshd패키지gcc (이런 것도 없다니... 그냥 데스크탑으로 쓰려면 필요 없을지도.)maketofrodos (dos2unix, unix2dos 명령어가 있는 패키지)colormake (메이크에 컬러를 입힌다 +_+) 패키지 정도는 필요하지 않을까 -_-;;

Unix/Ubuntu 2007.02.18

AD에 물리기 파트2

파트1까지 했다면 "getent passwd"로 AD의 사용자 목록까지 포함한 사용자 목록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getent group"으로는 AD에 유닉스 그룹 속성을 준 그룹까지도 볼 수 있다. 기쁘게도, root로서 "su - 사용자ID" 명령을 치면 그 사용자로 간접 로그인까지 할 수 있을 것이다. (없는 id로 su를 시도하면 id가 존재하지 않는다면서 되지도 않음. ID인식이 잘 되었다는 소리다!) 하지만, AD의 ID로 직접 로그인 하는 것은 아직 되지 않을 것이다.왜냐..."Authenticate"되지 않았기 때문이다.이 부분은 케르베로스를 이용하게 된다.컨닝교재는 역시 Winbind를 거치지 않는 아래 것이 되겠다.http://developer.novell.com/wiki/ind..

Unix/Ubuntu 2006.08.20

AD에 물리기 파트1

http://www.tkk.fi/cc/docs/kerberos/nss_ldap.htmlapt-get install ldap-utils패키지를 설치했다.* 패키지 목록은http://packages.ubuntu.com/dapper를 참고하면 됨. 필자는 Active Directory에 매우 집착하고 있다.왜냐.... 사용자마다 다른 컴퓨터들을 사용하더라도적어도 어디를 가든 자신의 ID로 로그인이 되도록하는 환경을 만들고 싶기 때문이다.그것도, 유닉스 따로, 윈도우 따로가 아닌 제대로된연동이 되도록 말이다..............그 중심은 AD여야 한다. 왜냐, 윈도우는 무식해서 (?) AD로 관리해야지썬디렉토리나 LDAP으로는 ID만을 관리할 수 있을 뿐도메인 정책을 변경할 수 없기 때문이다. http://..

Unix/Ubuntu 2006.08.19

mysql설정

1. 데이터 디렉토리 변경/etc/mysql/my.cnf를 컨닝해보면/var/lib/mysql이 datadir로 되어있다. (-_-)그래서?mv명령으로 /var/lib/mysql을 통째로 /export/mysql로 이동시키고/var/lib에는 소프트링크를 생성했다. 1.5my.cnf에서 bind-address = 127.0.0.1을 코멘트 처리한다. 2. root비번 변경LAMP서버를 설치하고 나면 root비번이 없다 (!)아래 명령으로 설정을 해준다.$ mysqladmin -u root password your-new-password $ mysqladmin -hroot@local-machine-name-u root password your-new-password $ sudo /etc/init.d/mys..

Unix/Ubuntu 2006.08.19

FTP설치

proftp패키지가 있다...아직은 되도록 패키지를 사용해보고싶다.$ sudo apt-get install inetd$ sudo apt-get install proftpd-ldap (*ldap을 쓸 것이라면. 쓰지 않을 것이면 그냥 proftpd패키지를 를 설치한다.)를 이용해 설치함. stand-alone으로 할래, inetd를 통해 할래 라고 묻기에inetd를 통해 동작하게 설정하였다.(앗... standalone이 더 좋다 orz)차이: inetd종속일때와는 달리 /etc/inet.d 스크립트로 제어됨. 재부팅 후 ftp localhost를 해봤음.기존에 만든 ID로 로그인도 되는데,세부 설정이 되있지 않아 chroot 감옥에 갇혀있지 않다. /etc/proftpd.conf수정.chroot 감옥 환..

Unix/Ubuntu 2006.08.18

아파치 설정

LAMP서버 (Linux Apache Mysql PHP)로 설치했다면기본적으로 아파치가 돌아가고 있다.하지만 설정이 엉망이다. 보통의 다른 Unix계통 OS와 달리 우분투에서는 httpd.conf가 아닌/etc/apache2/apache2.conf를 수정하게 된다.모듈도 다른 방식으로 설치하는 모양이다...a아파치 최신버전은 저 스타일인가... 그리고 documents디렉토리역시 다른 곳에서 바뀐다.일단 sites-available에 virtual서버를 추가한 다음sites-enabled에 소프트링크를 거는 모양이다.가장 간단하고 얍삽하게, sites-available의 default를 변경하면디폴트 /var/www인 다큐먼트 루트를 변경할 수 있다. 홈디렉토리의 public_html사용 :솔라리스 10..

Unix/Ubuntu 2006.08.18

X환경 갖추기

우분투 서버로 설치하면 (LAMP서버가 아니더라도)X환경이 전혀 갖추어져있지 않다 -_-;;꼭 필요한 것은 아니나 X에서 컴파일 하고 싶다는 인간이 나타날까봐(이번 우분투 서버역시 실전서버이다...)일단은 X를 설치해두기로 했다. 컨닝교재:http://www.howtoforge.com/lamp_installation_ubuntu6.06일단은 apt-get install ubuntu-desktop으로 데스크탑환경 필수 패키지를 설치했다.(apt-get update를 한번쯤은 해야지 패키지를 찾을 수 있다고 한다.) 파일롤러, 파이어폭스 등 적절한 것들까지 한 큐에 설치되므로,다운로드는 고사하고 설치조차 겁나게 오래 걸릴 것이다. 재부팅을 하면 화려한 UI 로그인이 반겨줄 것이다.한글 폰트가 설치되지 않아서..

Unix/Ubuntu 2006.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