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53

<img src="http://blogimgs.naver.com/nblog/ico_scrap01.gif" class="i_scrap" width="50" height="15" alt="본문스크랩" /> Delphi 6 무료배포 버전

아래는 http://www.borlandforum.com/에서 퍼온 원문 입니다. ---------------------------------------------------------------------------------------- 임프랍니다. 볼랜드가 델파이6의 퍼스널 에디션을 공개했습니다. 이 버전은 트라이얼처럼 무료로 쓸 수 있지만, 트라이얼 에디션과는 차이가 많습니다. 먼저, 퍼스널 에디션은 그 자체로서 정식 버전이므로 60일간 사용가능한 트라이얼같은 시간 제한이 없습니다. 위의 캡쳐 이미지에서 보다시피, 퍼스널 에디션의 컴퍼넌트 팔레트에는 다음과 같은 9개의 탭밖에 없습니다. Standard, Additinal, Win32, System, Internet, Dialogs, Win 3.1..

Unix/*Nix계통 팁 2006.03.09

WDS기능

http://enjoywireless.com/contents/read.html?cate_id=001003&ckind=tiptech&pkind=01&seq=2396&no=0 필자가 집에서 WDS기능을 처음 구현했을 때에는 못 봤던 좋은 컨닝자료 ㅠㅠ 도용이지만 그림이 너무 깔끔해서;; 위의 링크에서 가져왔다. 필자는 집에다 저 짓을 했다. 1. 데스크탑A는 거실에 있다.2. 데스크탑B는 방에 있다. 필자가 주로 사용하는 컴퓨터임.3. 공유기A는 거실에 있고, 인터넷에 접속하는 wire가 들어온다.4. 공유기B를 새로 사서, 데스크탑B와 wire로 연결했다. 이 외의 연결된 wire는 없다.데스크탑B는 공유기A에 무선랜카드로 접속해서 인터넷을 했었다. 하지만 WOL의 필요성 때문에 wire를 공유기A에서 끌..

Unix/*Nix계통 팁 2006.03.06

Linksys (Cisco) WRT-54G 유/무선공유기

http://en.wikipedia.org/wiki/Wrt-54g 출시된지 조금 지나긴 했지만 (무려 2003년)2006년인 지금까지도 버전업을 하면서 명맥을이어오고 있는 명작 공유기이다. 너무 최신인 v5말고,v4나, WRT-54GL을 사면절대로 후회하지 않을 것이다.기능 목록에 써지지 않은 기능이 있기 때문에웬만한 공유기보다 기능이 많다고 보장할 수 있다.그 기능의 원천은 바로 사파펌웨어 설치 가능성 여부 -_-!!!!!! 사파펌웨어를 깔면, 펌웨어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200Mhz, 16MB램, 하드 4MB의 리눅스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다 시켜먹을 수가 있다. (!)하드 4MB의 압박을 벗어나려면 하드웨어적으로도 개조할 수 있다. (!)HW개조같은 과격한 것 말고 좀 더 안전한 것을 원하..

하드웨어 2006.03.06

Ultra VNC - 2. 원격제어하는 쪽

간단하다. 단 두가지. 방법1http://ultravnc.sourceforge.net/여기서Ultr@VNC1.0.1 Standalone Viewer를 받는다. exe파일 달랑 한개짜리다.아무데나 가서 집에 있는 컴퓨터를 건드릴 때 부담 없이 설치 가능하다. 방법2http://111.222.333.444:999처럼 주소 형식으로 집의 컴퓨터에 접속한다.111.222.333.444엔 IP주소를999엔 main포트를 대입한다.자바를 설치하고 나면 브라우저로 집의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어느 방법이든 접속에 성공하면 암호를 물을 테고, 답해주면 원격 컴의 화면이 보인다. 주의: 공유기와 윈도우 방화벽의 포트를 뚫어줘야 접속이 가능하다. 윈도우쪽 방화벽을 깜빡하여 1시간을 해메었음 -_-;

Unix/*Nix계통 팁 2006.03.06

Ultra VNC - 1. 서버쪽

대략 더 나은 글이자 출처http://blog.naver.com/wowzoo/50001641272KBench에서 스크린샷은 끌어온 모양이다 -0-본 필자도 직접 스크린샷을 찍을 의지가 없으므로도용하겠다 Orz;; 리눅스에 XDMCP와 VNC가 있는데, 윈도우라고 그런게 없으리요 -_-...윈XP부터는 원격조종이라는 것이 보조프로그램에 보이기 시작했다.(시작 -> 실행 -> mstsc로 하면 간편하다.)(윈 2000은 숨어있는 것 같은데 확인해보진 않았다. 아니면 설치해야 하던가...) 그런데 윈도우에 기본 장착된 원격제어는1. 로그인을 원격에서 하는데, 로그인을 위한 윈도우 계정이 미리 만들어져 있어야 하고2. 이미 진행중인 작업은 볼 수 없다. 윈도우의 원격제어 mstsc는 리눅스의 XDMCP와 유사한..

Unix/*Nix계통 팁 2006.03.06

<img src="http://blogimgs.naver.com/nblog/ico_scrap01.gif" class="i_scrap" width="50" height="15" alt="본문스크랩" /> 0db!! 완전 무소음 컴퓨터에 도전한다. (HTPC계의 새로..

최근에 나오는 하드웨어들 중에 눈에 띄는게 하나있다.그건 바로 mini-itx 메인보드많은 분들에게 생소하실지도 모르겠다.이것은 기존의 250w에서 350w 가량의 전력을 소모하던 atx 메인보드와는 달리,60w에서 90w 가량의 저전력을 사용한다.저전력으로 작동되기때문에 발열량이 그만큼 줄어들었다.메인보드의 크기도 굉장히 작아졌다.대략 15.4인치 노트북의 넓이의 1/2정도 되는듯..아래의 사진을 보시라.. pci 슬롯의 크기와 메인보드 전체의 크기를 비교해보시라!!굉장히 작은 메인보드가 아닌가!!아래의 메인보드 스펙을 보면 메인보드의 크기가 가로x세로 17x17cm인것을 알 수 있다. VIA EPIA ML SpecificationsProcessor- VIA Eden™ EBGA 600 MHz proce..

하드웨어 2006.03.05

Wake on Lan - 2. 컴퓨터 쪽 설정

http://www.lanis.co.kr/bbs/board.php?bo_table=tip_tech&wr_id=328#c_332 컴퓨터쪽 하드웨어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필자의 보조 컴퓨터인 구식(!.. Orz 겨우(?) 2002년도산인데?;;)매직스테이션 2750은 Wake on Lan기능이 없다.필자는, Wake on Lan선은 어떻게 구했지만 (랜카드와 메인보드를 잇는 선이다.)정작 메인보드에 그것이 꽂히는 곳이 없었다 -_-;; 뭐 요즘 컴퓨터라면메인보드에 랜카드가 내장되어 있는데그런 기종이면 99% WOL기능이 있다. 하드웨어가 뒷받침 되었으면BIOS를 이리저리 헤집고 다니면서 Wake on Lan또는 Wake가 들어간글자만 보이면 일단 관심을 가지고 봐서 원격으로 켜질 수 있도록BIOS차원에서 W..

Unix/*Nix계통 팁 2006.03.05

Wake on LAN - 1. 공유기쪽 설정

원격지에서 꺼져있는 컴퓨터를 켤 수 있다면?컴퓨터를 하루 종일 켜놓치 않아도, 원하는 때컴퓨터를 켜서 FTP서버 같은 것을 돌릴 수 있을 것이다.즉... 내 맘대로 웹하드가 하나 생기는 것이다 +_+ 필자의 공유기 기종은 WRT-G54이녀석은 애초에 회사가 펌웨어를 GPL용으로하나 release하여 놓은 것이 있다.그래서 여러가지 사파 펌웨어들이 존재하기 좋은 환경이 되어있다. 1. Hyper-WRT2. OpenWrt3. DD-WRT 등등...의 펌웨어들이 존재한다.개중에는 상업용 펌웨어도 존재한다 -_-...; 어쨌든... OpenWRT는 설정이 좀 어렵다. 리눅스 지식 필요.DD-WRT는 좀 지저분한 느낌이 든다. 어쩐지 -_-; 그리고무선랜 쪽 연결이 불안정 하다. 무선랜으로 연결하는 경우메신저 연..

Unix/*Nix계통 팁 2006.03.05

KT AirGate 5032G

필자가 한참 시스코의 WRT-54G공유기에다가 사파 펌웨어를 깔고이것 저것 난리치고 있을 무렵이었다. 밖에서도 무선 인터넷이가능하도록 네스팟을 신청했는데... KT직원들이 왔을 때 들고 온 Access point장비에직원이 telnet으로 접속하는 것이었다. (-_-!) 오호 -_-; 이녀석도 제어가 가능한 녀석이었군.이놈을 공유기로 개조해서 쓸 수 있을까 -0-;;KT는 공유기를 싫어하니까 아마 안 되겠지 -0-;;;;; --------------------------------------------------한국 하드웨어라서 정보가 별로 없는데다가공식사이트에도 정보가 없는 비매품이다 orzKT직원은 되어야 지지고 볶고 하는 연구를 할 수 있으려나 +_+;;

하드웨어 2006.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