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x 732

Dovecot imap과 Thunderbird

안된다. why? TLS/SSL설정을 잘 해야 하니까. log_path = /var/log/maillog 로 설정하였다. 작업하는 동안 로그를 통해 뭐가 문제인지 이제 볼 수 있을 것이다.. Thunderbird의 로그 기능을 쓰는 것도 좋다. batch파일을 이렇게 만든다. set mydate=%date:~-4,4%%date:~-7,2%%date:~-10,2% set mytime=%time:~0,2%%time:~+3,2% set NSPR_LOG_MODULES=IMAP:5 set NSPR_LOG_FILE=c:\thunderbird_%mydate%_%mytime%.log start /d "c:\program files\mozilla thunderbird" thunderbird.exec:\에 디버그용 파일이..

Unix/Solaris10 2008.01.23

GNU Mailman 종합

써본 결과는 아주 만족스럽다. 세밀한 설정이 가능하고, 무엇보다도. 웹인터페이스가 비범하여 이 것 하나로도 타 메일링리스트 관리 프로그램을 압도할 수 있다. 설치하는 과정이 좀 길었기 때문에 이 글에 정리해둔다. 그리고 메일링리스트의 설정도 기록해둔다. ./configure는 이 글의 것으로 한다. 시행착오를 겪었기 때문에... $ ./configure --with-username=listserv --with-groupname=listserv --with-mailhost=yyy.xxx.ac.kr --with-urlhost=yyy.xxx.ac.kr --with-cgi-gid=webservd --with-mail-gid=listserv --with-mailhost, with-groupname을 잘못 정하면 ..

Unix/Solaris10 2008.01.22

GNU Mailman postfix 연동

http://blog.naver.com/ssanzing2/140044311290 위 글대로 컴파일까지 하고, apache와 연동까지는 완성했다. 이제 postfix와의 연동이 남았다. http://kldp.org/KoreanDoc/html/Mailman-KLDP/Mailman-KLDP-4.html 위 글을 믿고 계속 가보자. 문서의 $prefix는 필자의... 언제나처럼 소스코드의 default로대로 둔, /usr/local/mailman이다. # su - listserv $ cd /usr/local/mailman/cron $ crontab crontab.in 모두 이상없이 잘 됨. su - listserv를 안 하고 하는 방법도 있다. $ cd /usr/local/mailman/cron $ cronta..

Unix/Solaris10 2008.01.22

Shell Command 녹화

script라는 명령어를 쓰면 된다. $ script 라고 하면, 녹화가 시작된다. $ script -f rec1.txt 라고 하면 rec1.txt에 녹화된다. 작업하면서 터미널에 출력되는 "모든" output이 파일에 적힌다. vi에디터로 편집을 했었다면 그것까지 "녹화"된다. script 명령어를 잘 이용하면 남에게 자신이 작업하고 있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 $ script /dev/pts/1 이런식... pts/1 이런건 who를 쳐보면 쉽게 알 수 있다. http://blog.hostway.co.kr/zb5/?page=2&sid=670&article 위 글에서 알아낸 정보임. 그곳의 다른 정보도 상당히 유용하다.

Unix/*Nix계통 팁 2007.12.25

Active Directory에 드디어 물리다

!!!!!!! LDAP client를 이용해 물리는 방법이 연구가 되어 완성 되었다. 삼바를 쓰지 않는 방법을 추천하는 바이다. Solaris를 AD에 bind하려면 samba를 쓰는 것이 가장 편함. 하지만 기본 include된 samba는 솔라리스10 마케팅 팀이 광고하는 것과 달리, AD에 bind할 수 없다. -_-;; 그런 옵션을 걸지 않고 컴파일 했기 때문. sunfreeware의 패키지도 그건 마찬가지. http://forum.java.sun.com/thread.jspa?threadID=5073227: 여기서 그런 정보를 얻었다. 필요한 것 - 삼바 소스코드 - MIT Kerberos (역시 소스... 패키지가 없다. 게다가, 솔라리스에 딸려오는 것은 compile against할 lib이 ..

Unix/Solaris10 2007.11.18

GNU Mailman 재도전

전에는 비참하게 실패했고 일찍 포기했다 ㅡ,.ㅡ Mailman이 좋은 게, 웹으로 메일링스트 자동 가입 신청이 가능하단 것! http://blog.naver.com/ssanzing2/140041409921 재도전이다. 거의 그대로 하고, $ make install시도! mailman도 버전업 해서 이번엔 에러메시지가 바뀌어있었다.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bin/update", line 46, in import paths File "/usr/local/mailman/bin/paths.py", line 60, in import korean ImportError: No module named korean 어쨌거나 한국어 관련. 구리다 -_-...;; CJK코덱..

Unix/Solaris10 2007.11.05

Postfix, TLS 지원 넣기

일단은 컴파일을 하는 데 성공만을 목표로 한다면 이 글을 참고. http://blog.naver.com/ssanzing2/140031778941 TLS지원을 넣기 위해서 위 글의 일부 과정만을 조금씩 변형할 것이다. http://www.postfix.org/TLS_README.html 이 글을 기반으로 해나감. 데이터의 암호화를 할 필요가 생겼다 ㅡ,.ㅡa 메일 내용을 전부 암호화 하지는 못해도, 적어도 사용자가 relay를 하는 데 필요한 암호 정도는 암호화를 해야겠지. 컴파일을 한다는 전제로... 우분투는 그냥 된다. 솔라리스는 패지지가 없어서 낭패지만. 이전에 TLS없이는 이렇게 makefile을 만들고 컴파일 했다: $ make makefiles CCARGS="-DUSE_CYRUS_SASL -DU..

Unix/Solaris10 2007.11.02

메일서버 설정

우분투로 메일서버를 구축하는것, 드디어 다루는군 -_-!!! 우분투 서버로 설치했고, 메일서버용으로 설치했다고 가정한다. 버전은 7.10. 일단 뭐가 되고 안 되는지 보자! 우분투를 시스템에 설치할 때, 메일을 인터넷용으로 할지 로컬용으로 할지 스마트로 할지 이런걸 묻는데 인터넷용으로 하였다. 그 뒤 테스트를 해보았다. 1. 메일 보내고 받기는 된다. 2. POP3접속을 TLS를 통해 접속하면 썬더버드나 아웃룩이 메일을 가져올 수 있다. 3. IMAP역시 마찬가지로 된다. 4. relay는 안 된다. 기본 설정이 아주 무난하군! backend는 postfix, dovecot이다. (역시 필자가 솔라리스에서도 사용하고 있는 설정.) 우리가 이제 해야 하는 것은 smtp auth뿐이다. 컨닝 소스는: ubu..

Unix/Ubuntu 2007.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