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x 732

우분투에서 ZFS 쓰기

http://kldp.org/node/68614 http://kldp.org/node/68171 (댓글 중 궁극의 파일시스템이라고 설명하는 것이 하이라이트) ZFS쓰고 싶다아!!!!!!!! OpenSolaris를 호기심에 깔아본 뒤 ZFS를 사용해 보았다. 그 뒤로 잊히지를 않는구나!!! OpenSolaris나 다른 솔라리스 계통 OS의 킬러 application이라고 할 수 있음 -ㅠ-;; Fuse file system으로 리눅스에서도 어느정도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NTFS-3G도 사실 FuseFS라고 한다. 그런데 속도가 그렇게 나쁜것은 아닌 듯. 우선 리눅스에서 performance가 어떤지 다른 인간들의 평을 살펴보았다. http://opensolaris.org/jive/thread.jspa?..

Unix/Ubuntu 2009.02.11

Trac 설치하기

$ sudo apt-get install trac trac-mercurial패키지로 가자 -_-;; 그러면 아파치 외 이상한 것들이 많이 설치될 것이다. 아파치로 돌리긴... 싫다. 귀찮다... 아니 아파치로 할... 까? 아니다. 그냥 simplicity를 위해, tracd로 계속 가자. 80번 포트, 9080번 포트에 둘 다 실행하고 싶었다. /etc/init.d/skel의 것을 복사하여 고쳤다. 후후... #! /bin/sh ### BEGIN INIT INFO # Provides: tracd # Required-Start: $all # Required-Stop: $all # Default-Start: 2 3 4 5 # Default-Stop: 0 1 6 # Short-Description: star..

Unix/Ubuntu 2009.02.09

Code::Blocks에서 static library dependency

M$ visual studio에서는 static library형태로,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여럿 만들어두고, 그것을 여러 프로젝트에서 끌어다 쓸 수 있었다. CB도 마찬가지다. CB에서도, workspace내에 여러 프로젝트가 열려 있으면 서로 필요한 상호관계를 지정해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가 하나 있으니... static library에서 뭐 조금 바꾸면, 해당 프로젝트가 제대로 컴파일이 되기는 한다. 하지만 그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최종 프로그램은... linking을 다시 하지 않는다 -_-;;; static library의 output을 제대로 안 읽는 것이지;; 그게 바뀌었는지 안 바뀌었는지. 이런 때에는 프로젝트의 properties...에서 BuildTargets탭에서, 각 tar..

Unix/Ubuntu 2009.02.07

Code::Blocks + GLUT + wxWidgets (우분투에서)

http://ubuntuforums.org/archive/index.php/t-330554.html 컨닝 교재. aptitude에서 codeblocks로 검색하면 나오는 것 중 적당해 보이는 것들을 설치했다. Code::Blocks는 그다지 문제가 아니다. $ sudo apt-get install codeblocks codeblocks-contrib codeblocks-dbg codeblocks-dev wxWidgets: $ sudo apt-get install libwxbase2.8-dev libwxgtk2.8-dev wx2.8-doc wx2.8-examples wx2.8-headers wx2.8-i18n 이제 glut이 문제... 인데 $ sudo apt-get install freeglut3 fre..

Unix/Ubuntu 2009.02.06

wxWidgets에는 String Table이 없다?

http://books.google.co.kr/books?id=CyMsvtgnq0QC&pg=PA650&lpg=PA650&dq=wxWidgets+string+table&source=bl&ots=SS7wm6Kovg&sig=URmhAmRKeYvPMtYaTLbwRFeiXHc&hl=ko&sa=X&oi=book_result&resnum=3&ct=result http://docs.wxwidgets.org/stable/wx_internationalization.html http://docs.wxwidgets.org/stable/wx_wxlocale.html 다국어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분명 관심있을 사항일 것이다. String Table에 해당하는 Message Catalog이라는 것이 있다. 아직 안 해봐서 잘 모르..

Unix 2009.02.03

Ubuntu에서 ko.tex 사용하기

ko.tex가 패키지로 이미 있다 ㅡ,.ㅡ;; aptitude에서 고르기만 하면 된다. 참 쉽죠? 문제는 컴파일을 할 때이다. 잘... 되나??? 적어도 doxygen이 만드는 문서는 컴파일이 되지 않았다. 열받고 귀찮고 생각하기 싫어서 aptitude로 texlive가 들어간 패키지는 전부 다 (xetex빼고) ko.tex 들어간 패키지도 전부 다 설치했다. 윈도우보다 쉽죠? ㅋ_ㅋ 여전히 doxygen이 만드는 문서는 컴파일이 되지 않았다(한글이 들어갔음) 기존에 쓴 레포트는 잘 된다. good... doxygen의 문제는 doxygen에서 처리해야겠군.

Unix/Ubuntu 2009.01.30

Ubuntu에서 Doxygen쓰기

ko.tex와 latex 설치: http://forcecore.tistory.com/914 $ sudo apt-get install doxygen 으로 하면 doxygen명령어를 쓸 수 있게 되긴 하는데, 설정파일을 수정할 수 있는 GUI가 있음에도 쓰지 않으면 좀 아쉽다. doxygen-gui 패키지도 설치하자. doxywizard로 doxygen설정파일을 만들면 아주 쉽게 doxygen 설정파일을 만들 수 있다. $ doxygen 설정파일이름 으로 document를 생성하자 :D 끝... 그러나 latex쪽은 pdflatex 컴파일이 되지 않는다. 와이...?! 아... PDF로 된 doxygen매뉴얼을 얻으려면 그냥 생성되는 latex디렉토리로 들어가서 make를 하면 됨. 어쨌든 어떻게 안 되는고..

Unix/Ubuntu 2009.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