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inux사이트에서 받은 배포판(?)은 웹에 올려야 한다는 특성 탓에 그 크기가 매우 작다.
가상 하드 파일도 작아서 용량도 별로 없고... 아래처럼 확장시킬 수 있다.
받아놓은 FC1은 최소 설치가 되었기 때문에, 용량이 매우 부족하다 Orz. 가상 하드의 용량 확장부터 해야 한다. 사이트에 잘 찾아보니 이런 게 있었다.
http://wiki.colinux.org/cgi-bin/ExpandingRoot
http://wiki.colinux.org/cgi-bin/NiceTools
여기서 mksparse도 얻고...
윈도우 환경의 콘솔에서 (cmd)
> fsutil file createnew fc1_10GB_root x*1073741824
1073741824 = 1GB다. x*1073741824자리에 적당히 계산해서 용량을 원하는 만큼 확보한다. fsutil명령은 윈 XP에 포함되어 있으니 그냥 쓰면 된다. 10GB용량이지만 1초만에 될거다 -_-..;
<block_device index="3" path="\DosDevices\c:\colinux\fc1_10GB_root" enabled="true"></block_device>
이것을 적당히 수정해서 설정 파일에 넣어준다.
index를 잘 보길. OK? 3으로 하면 cobd3, 1로 하면 cobd1, 2로 하면 cobd2를 써야 한다.
이제 리눅스를 불러서...
# mkfs -t ext3 /dev/cobd3
이라고 해줘서 포맷(?)을 시킨다. 그러면 이제 마운트 가능해진다.
# mkdir /mnt/test
# mount /dev/cobd3 /mnt/test (that's /dev/cobd/3 on GenToo)
마운트 했으면 복사를 한다.
# cp -ax / /mnt/test
# umount /mnt/test
NB: Under Gentoo Linux you may need to copy the contents of /dev to the new filesystem. Missing this step will cause Gentoo to issue a warning and instructions to fix it on reboot. So copy the contents of /dev before issuing the umount command E.g.
# cp -a /dev/* /mnt/test/dev/
시스템을 정지시키고
shutdown -h now
<block_device index="0" path="\DosDevices\c:\Program Files\colinux\fs_4095Mb" enabled="true" />
config파일을 적당히 설정해서 새 파티션을 루트에 마운트 하게 하자.
성공 +_+
#df -h
명령으로 디스크의 사용 가능한 공간을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