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x 732

Samba설정

/etc/init.d에 이미 samba가 있어서 스크립트 자체를 ./samba start해주면 된다.하지만 설정은?;; /etc/sfw/smb.conf-example이 있다.smb.conf라는 파일을 작성하는데 그 example은 무궁무진하기에매뉴얼을 보라는 말이 그 안에 써있다. 일단은 example을 smb.conf로 복사했다.음.. 목표는 일단... 1. WORKGROUP이라는 작업그룹에 넣는데이 작업그룹의 컴퓨터 보기를 하면 보이게 하고 싶다.2. 그리고 이 서버의 사용자로 ID, 비번을 적으면자신의 home directory가 보여야 한다. 설정은 어떻게 할까?;;;SWAT이라는 것이 있다. 웹으로 스왓 설정을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http://faculty.acu.edu/~westk/Sol..

Unix/Solaris10 2006.07.04

ls에 색깔넣기

http://tille.xalasys.com/training/solaris/colorls.php이 글을 컨닝했다.http://solaris.superuser.co.kr/bbs/board.php?bo_table=QnA&wr_id=2401이 글도 좋은 소스다. ls에 색 넣기는 솔라리스에 주어지는 기본적인 ls에 없는 기능이다. www.sunfreeware.com에서 coreutils패키지를 받는다. 그 안에 ls가 들어있다. 설치하려고 하는데 파일 충돌이 있다고 한다.그리고 (속성변경만)이라는 단서가 붙어있다.그래서 과감하게 설치했다. (-_-... 괜찮을까) 그리고 .bash_profile을 에디트...결국 이렇게 되었다. 단.. vi='vim'으로 바꾸는 것은vim을 설치하기 전엔 하지 말것;;필자도 ..

Unix/Solaris10 2006.07.04

LDAP - 1

학교 컴퓨터를 보니 NIS+에서 사용자들을 관리하고 있었다. 윈도우 Active Directory에서 사용자를 관리하듯이, 로컬 계정과는 무관하면서도 시스템의 자원 (FTP계정과 같이)은 적절히 활용하더군. 물론 그래야 하지만, 제대로 동작하는 것을 보진 못했다 -0-;; 학교의 유닉스 서버들이 다 멸망(?)해서 하나도 서비스 되고 있는 것이 없었기 때문. NIS+매뉴얼을 보니 앞으로 NIS+가 있을지 없을지 모른다고 하더라. LDAP기술이 있기 때문 (-_-!? 이 말은 윈도우 AD (Active Directory)에서도 본것 같은데;;) 그러면 NIS+말고, LDAP를 파보자.

CVS 서버 돌리기

유닉스 환경에서 CVS 서버 설정을 하기는 처음이다...; 그동안 윈도우에서는 많이 해봤지만. sunfreeware.com에 CVS패키지가 있다 (-_-!) 그래서 그것을 받았다. 설치... # gunzip -d cvs-1.11.20-sol10-sparc-local.gz # pkgadd -d cvs-1.11.20-sol10-sparc-local 충돌이라고 하는데 매뉴얼 페이지가 조금 충돌이 있는거 같다. 그래도 설치하면 되겠지?;; 매뉴얼 따위야.. -_-;; 이제 cvs명령이 듣게 되었다. cvs add 이런 작업은 할 수 있게 됨. 하지만 서버는 -_-? http://www.pointless.nl/~peter/stuff/cvs-server.html 이 글을 컨닝한 바에 의하면, 유닉스에서는 SSHD가..

Unix/Solaris10 2006.07.02

pine 컴파일 하기

솔라리스엔 기본적으로 메일서버가 돌아가고 있다. 물론 보안상 # svcadm disable smtp 라고 해서 끄는게 좋다. 좀 알려진 서버인데 이런 게 돌아가고 있으면... 잘못하면 크래킹 당해 스팸메일 발신용으로 전락하기도 한다. -0-;; 하지만 smtp서비스를 써서 메일을 발신한다고 해보자. 유닉스 터미널에서 메일을 작성할 때 좀 편한게 pine이더군. ㅡㅡa 다른 더 좋은게 있다면 알려주시길 :D 필자는 그냥 이것을 처음 접했기 때문에 관성적으로 쓰고 있다;; http://www.washington.edu/pine/ 파인 소스를 받았다. 매뉴얼을 보니 build 스크립트를 실행시키라고 하는데, build에 OS지정을 하는 것이있었다. 벗뜨... 솔라리스의 OS코드가 뭔지 당최 모르겠어서, (RE..

Unix/Solaris10 2006.07.01

아파치2

http://meljr.com/~meljr/apache2_Sol10.html 이곳을 컨닝했다. 솔라리스10에는 이미 설치되어 있으니 단순히 켜기만 한다는 것이 요지. 1. 일단 설정파일을 복사한다. cp /etc/apache2/httpd.conf-example /etc/apache2/httpd.conf 2. /etc/apache2/httpd.conf를 적절히 수정한다. 3. svcadm enable apache2 로 서비스 on! 설정이 결국 문제다. 엇? 설정을 하고 나니 아파치가 돌아가고 있지 않다. xvcadm -x apache2 라고 치면 적절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어느 파일에 로그가 덤프되었는지 알려줄 것이다. 로그를 보니까 설정이 잘못되어 있다 -0-;; 필자가 모르고 ServerRoot를..

Unix/Solaris10 2006.07.01

FTP 설정하기.

이 글의 요지는 대충 1. inet계통 데몬을 솔라리스 서비스로 변환하는 방법 2. 패치를 적용하는 방법 3. 솔라리스 패키지 언인스톨 방법 이 되겠다. 솔라리스10에는 기본적으로 FTP가 설치되어있으며, 기본적으로 돌아가고있다. (텔넷과 XDMCP와 마찬가지로 :D) 하지만 솔라리스 기본FTP는 유감스럽게도, 대부분의 FTP클라이언트가 제대로 디렉토리 구조를 보지 못하게 되어있다. 위 스샷과 같이 파일이나 디렉토리명 앞에 시간이 붙어버린다 -0-;; 기본 제대로 FTP에 접속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는 파일질라 최신버전이다. 하지만 그 외의 것들이 제대로 접속되는 것은 본적이 없다. 일단은 기본 FTP를 없애버리자. (설정을 제대로 해서 고칠 수 있는지 연구해봤지만, docs.sun.com의 FTP설정 문..

Unix/Solaris10 2006.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