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x 732

AD에 물리기

계속되는 AD에 대한 집착 -0-!1. /etc/nsswitch.conf 수정. (여태껏 많이 해서 너무 쉽다?)2. /etc/ldap.conf수정. (이 파일은 아래의 글에서 /etc/libnsswitch.conf를 수정한 것과 똑같이 수정하면 된다.)http://blog.naver.com/ssanzing2/140027675156이렇게 하면 getent passwd와 getent group이 통할 것이다.별 달리 설치해야 할 패키지는 없다. 필자의 경우.../home/local/관리자1/home/local/관리자2(passwd entry에 등록된 인간들) /home/2000/user1/home/2000/user2/home/2001/user3/home/2002/user4.....이런식으로 /home/입학..

Unix/CentOS 2006.08.22

XDMCP 열기

http://blog.naver.com/ssanzing2/140022121783coLinux에서 했던 것과 비슷하게 하니 잘 안 되더군 -_-;; http://blog.naver.com/ssanzing2/140022136015여기에서 한 방법대로 GUI를 썼다. 트러블슈팅아직 접속이 안 된다. 방화벽 때문?/etc/sysconfig/iptables에 IP테이블이 있다.수작업으로 수정할수도 있고 (...) system-config-securitylevel명령어로 (ssh로도 실행 가능) xdmcp:tcp,xdmcp:udp를 custom에 추가해주었다.파일을 확인하니 177을 알아서 추가했더군 (굿)아마 이런 인식은 /etc/services에서 하는 것 같다.

Unix/CentOS 2006.08.21

아파치 설정

/etc/rc5.d/K15httpd 라고 되어 있는 K를 S로 고쳐 활성화 시킨다.rc5, rc3 이런건 runlevel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 할 서비스 목록이다...a/etc/init.d의 스크립트를 적절한 이름으로 소프트링크하고 있다. 설정파일의 위치/etc/httpd/conf/httpd.conf index.html으로 검색하여 그 목록에 index.htm과 index.php를 추가해준다. libphp4.so가 conf파일에서 로드되어있진 않으나,configuration을 수정하여 일부러 추가하면, 이미 로드 된모듈이라고 한다. PHP가 기본장착된 모양이다. 1. ServerAdmin 수정2. ServerName 수정3. DocumentRoot "/var/www/html" 이란것을 알아냄... 그런..

Unix/CentOS 2006.08.21

FTP설정

기본 FTP는 vsftp./etc/vsftpd에 설정이 있다.이는 솔라리스에서 했던대로, 일반유저는 chroot감옥에 가두어놓기로 했다.http://blog.naver.com/ssanzing2/140025729151 FTP상 root나 시스템 계정은 RHEL에선 기본적으로, 로그인이 되지 않게 설정되어있다. /etc/rc5.d 등의 적절한 디렉토리에서K50vsftp 이런 식으로 K계통으로 되어있는 것을S50vsftp 로 이름을 변경해야 재부팅시 자동으로 활성화 된다.

Unix/CentOS 2006.08.21

CentOS

IBM의 xSeries 226서버의 머신에 우분투를 깔았으나불안정한 이유를 알아내었다. 64bit 운영체제를 써야 했는데 32비트 운영체제를 설치한 것이다.램이 3GB나 되기 때문에 32비트는 방대한 램을 소화하지 못한 것이다.(?아닌지도 모르겠다 그냥 우분투 탓인가...a) CentOS로 다시 설치했다 -_-;; 대충 아래를 달성하는 것이 목표.1. APM이 돌아간다.2. 컴파일이 된다.3. FTP가 돌아간다.4. AD에 물려있다.5. XDMCP

Unix/CentOS 2006.08.21

AD에 물리기 파트2

파트1까지 했다면 "getent passwd"로 AD의 사용자 목록까지 포함한 사용자 목록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getent group"으로는 AD에 유닉스 그룹 속성을 준 그룹까지도 볼 수 있다. 기쁘게도, root로서 "su - 사용자ID" 명령을 치면 그 사용자로 간접 로그인까지 할 수 있을 것이다. (없는 id로 su를 시도하면 id가 존재하지 않는다면서 되지도 않음. ID인식이 잘 되었다는 소리다!) 하지만, AD의 ID로 직접 로그인 하는 것은 아직 되지 않을 것이다.왜냐..."Authenticate"되지 않았기 때문이다.이 부분은 케르베로스를 이용하게 된다.컨닝교재는 역시 Winbind를 거치지 않는 아래 것이 되겠다.http://developer.novell.com/wiki/ind..

Unix/Ubuntu 2006.08.20

AD에 물리기 파트1

http://www.tkk.fi/cc/docs/kerberos/nss_ldap.htmlapt-get install ldap-utils패키지를 설치했다.* 패키지 목록은http://packages.ubuntu.com/dapper를 참고하면 됨. 필자는 Active Directory에 매우 집착하고 있다.왜냐.... 사용자마다 다른 컴퓨터들을 사용하더라도적어도 어디를 가든 자신의 ID로 로그인이 되도록하는 환경을 만들고 싶기 때문이다.그것도, 유닉스 따로, 윈도우 따로가 아닌 제대로된연동이 되도록 말이다..............그 중심은 AD여야 한다. 왜냐, 윈도우는 무식해서 (?) AD로 관리해야지썬디렉토리나 LDAP으로는 ID만을 관리할 수 있을 뿐도메인 정책을 변경할 수 없기 때문이다. http://..

Unix/Ubuntu 2006.08.19

mysql설정

1. 데이터 디렉토리 변경/etc/mysql/my.cnf를 컨닝해보면/var/lib/mysql이 datadir로 되어있다. (-_-)그래서?mv명령으로 /var/lib/mysql을 통째로 /export/mysql로 이동시키고/var/lib에는 소프트링크를 생성했다. 1.5my.cnf에서 bind-address = 127.0.0.1을 코멘트 처리한다. 2. root비번 변경LAMP서버를 설치하고 나면 root비번이 없다 (!)아래 명령으로 설정을 해준다.$ mysqladmin -u root password your-new-password $ mysqladmin -hroot@local-machine-name-u root password your-new-password $ sudo /etc/init.d/mys..

Unix/Ubuntu 2006.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