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태껏 필자가 써왔던 솔라리스, 레드햇 계통, 데비안 계통과 달리 Gentoo는 Text 환경에서 명령어를 쳐서 만들어야 한다.
마치..........
http://www.linuxfromscratch.org/
Gentoo는 Linux from Scratch(LFS)와 비슷한 느낌이라고나 할까?
당연히, LFS보다는 훨씬 더 쉽다.
LFS는 몇년 전에 해보았는데 약 2주가 걸린다...; CPU가 느리긴 했지만, 컴파일을 자면서 밤새 해야 했다.
일단은 하드의 파일 파티션 어떻게 배치할 것인지를 정해야 할 것이다.
필자는 이렇게 짰다. /가 클수록 좋다는 주의다...;; 대충 대충 ㅡ.ㅡ;;
/dev/sda1 ext3 / : bigger the better (?) (853 blocks)
/dev/sda2 swap : 2 GB (249 blocks)
/dev/sda3 none Whole disk 라는 것
/dev/sda4 /usr : 10 GB (550 blocks)
/dev/sda5 /home : 10 GB (550 blocks)
2GB: 249 cylinder
/dev/sda3는 SunOS와의 호환 상 필요하니까 있는게 좋다고 해서 유지한 파티션이다.
하드디스크가 약 40GB가 안 된다. (40GB하드를 꽂으면 실제로는 더 작은 그런 현상;;)
구상은 이렇게 했지만, 실제로는 어떻게 적용하는고하니, fdisk라는 것을 써야 한다고 매뉴얼에 있다.
m을 보면 help가 나오므로그다지 어렵지 않게보면서 설정할 수 있다.
n: 새 파티션
p: 현재 구상된 파티션 보기 (아직 디스크에 적용되진 않음)
q: 적용하지 않고 종료
w: 적용 하고 종료
d: 파티션 삭제
대강 이 정도 명령어면 할 수 있다.
w를 눌러서 파티션 나눔을 적용하였으면, 이제 포멧(?)을 해야 한다.파일 시스템을 만든다고 하는 것인데...
mkfs -j /dev/sda1 && mkfs -j /dev/sda4 && mkfs -j /dev/sda5
-j 옵션을 붙이면 ext3로, 안 붙이면 ext2로 된다.
swap도...
mkswap /dev/sda2
를 하면 swap 파티션으로 설정되고,
swapon /dev/sda2
를 하면 swap으로 사용된다.
마운트하기
/mnt에 보면 gentoo라는 디렉토리가 있을 것이다. 여기에다가 여태껏 생성한 디렉토리를 마운트 하라는 소리다.
cd /mnt
mount /dev/sda1 /mnt/gentoo
cd /mnt/gentoo
mkdir home usr
mount /dev/sda4 /mnt/gentoo/usr
mount /dev/sda5 /mnt/gentoo/home
이것으로 생성과 마운트를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