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Chroot를 하고 컴파일을 시작할 때인데...
vi가 안 먹는다. nano를 일단은 대신 쓰길 바란다.
make.conf설정이 아직 덜 끝났다.
다운로드미러 설정을 하는 것이 좋다.
# mirrorselect -i -o >> /mnt/gentoo/etc/make.conf
# mirrorselect -i -r -o >> /mnt/gentoo/etc/make.conf
를 하면 마법사 같은 것이 나와서 설정을 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필자는, 대만의 High-Performance컴퓨팅과 한국 미러를 골라주었고, rsync미러로는 오스트레일리아 것을 선택했다.
DNS정보도 복사해야 한다.
# cp -L /etc/resolv.conf /mnt/gentoo/etc/resolv.conf
proc과 dev파일시스템도...
# mount -t proc none /mnt/gentoo/proc
# mount -o bind /dev /mnt/gentoo/dev
이제 chroot할 준비가 되었다... 후후후
# chroot /mnt/gentoo /bin/bash
했다. 이제 /mnt/gentoo자를 안 붙여도 된다 -_-ㅋㅋ
# env-update
# source /etc/profile
# export PS1="(chroot) $PS1"
마치 이 과정은 뭐랄까 -_-a 홈월드에서 모선이 construct되다가 도크를 떠나는 느낌인데...;
Port tree를 쓰기 위해선 싱크를 해야 한다.
# emerge --sync
열심히 싱크 할 것이다...; 좀 오래 걸린다.
* An update to portage is available. It is _highly_ recommended
* that you update portage now, before any other packages are updated.
* Please run 'emerge portage' and then update ALL of your
* configuration files.
* To update portage, run 'emerge portage'.
이런 메시지가 나오면 emerge portage
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 emerge portage
configuration file을 업데이트 해야 한다고 하는데 이렇게나 자세한 매뉴얼에도 안 나와 있으니 그냥 넘어가겠다...;
프로필
크게 서버 프로필인지 데스크탑 프로필인지가 있는 것 같음. 서버로 해볼 생각이다.
# ls -FGg /etc/make.profile
를 하여 현재 프로필을 확인한다.
필자는 이렇게 나왔다.
/etc/make.profile -> ../usr/portage/profiles/default-linux/sparc/sparc64/2006.1/
막상 그 디렉토리로 가보니 desktop인지 서버인지 별 건드릴 게 없어보인다 -_-;;
USE 변수
다른 배포판은 여러가지 기능을 컴파일 해넣는라고 용량이 커지는데 Gentoo는 그렇지 않다. 사용할 기능 (SSL 이나 frame buffer 와 같은 )을 쓰려면 USE에 넣고 안 쓰려면 빼고 컴파일 하면 된다.
/etc/make.profile/make.defaults를 보면,
# USE settings
USE="apache2 arts berkdb crypt cups dlloader eds emboss encode esd fortran fbco$
이렇게 써있다. cups나 arts는 필요 없다. (프린터도 안 설치 할 것이고 소리는 더더욱 안 들을 것이니까)그렇게 하고 싶은데 파일을 직접 수정해봐야 소용 없다고 한다.
http://www.gentoo.org/doc/en/handbook/handbook-sparc.xml?part=2&chap=2
USE플래그 목록:http://www.gentoo.org/dyn/use-index.xml
/etc/make.conf에서
USE="-arts -alsa -cups ldap"
이런 식으로 해주면 됨.
USE="-arts -alsa -cups ldap berkdb bitmap-fonts crypt gdbm gif gpm gtk imlib jpeg gnome libg++ libwww mpeg ncurses nls oggvorbis opengl pam pdflib png python qt readline sdl spell ssl svga tcpd truetype X xml2 xmms xv zlib"
이렇게 수정했다. 이는
http://www.gentoo.org/doc/en/handbook/handbook-sparc.xml?part=2&chap=2
에 있는
USE="x86 oss apm arts avi berkdb bitmap-fonts crypt cups encode fortran f77
foomaticdb gdbm gif gpm gtk imlib jpeg kde gnome libg++ libwww mad
mikmod motif mpeg ncurses nls oggvorbis opengl pam pdflib png python qt
quicktime readline sdl spell ssl svga tcpd truetype X xml2 xmms xv zlib"
를 컨닝해서 만든 것이다.
locale설정
/etc/locale.gen을 수정하라. 원하는 것을 코멘트 해제하면 된다... 라지만 ko_KR은 없다. 일본 것을 ko_KR로 개조하면 된다 ㅡ,.ㅡ;;
# locale-gen
을 하고...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