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하하.
APM말고도 더 가벼운 것으로 HTTP+PHP를 해보고 싶은 욕망이 들었다.
두둥...
http://joshdick.net/index.php?section=article&name=lighttpd
이 글을 컨닝했다.
잘 번역하다가 글을 날려먹어서 기분이 나쁘지만,
lighttpd+php조합을 네이버에 검색하면 거의 소스가 없기 때문에
이 것을 쓰면 한동안 이 블로그로 독점할 수 있다는
흑심을 품고 다시 열심히 번역하였다 -_-;;
http://network.hanb.co.kr/view.php?bi_id=1385
유닉스 환경에서 하는 방법은 이미 번역되어있다.
이 글은 윈도우 환경에서 돌리는 방법이다.
준비물:
1. LightTPD.http://blog.naver.com/ssanzing2/140039635677 필자의 블로그에 설치 방법이 적혀있다.
2. PHP.http://www.php.net/downloads.php에서 받는다. 설치 버전 필요 없고, PECL버전도 필요 없다. 무설치 zip파일로 받으라.
3. MySQL.http://dev.mysql.com/downloads/mysql. 역시 무설치 버전으로 받으라.
4. Perl. ActivePerl. zip패키지로 받으라. 하지만 필자는 설치 법전으로 이미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다. lighttpd를 쓰기 이전부터 펄스크립트를 윈도우에서 쓰고 싶어서 설치했기 때문.
5. phpMyAdmin. 옵션이다. 편안한 관리를 위해서.
설치:
1. lighttpd는http://blog.naver.com/ssanzing2/140039635677 이 글에 잘(?) 써있다.
2. zip으로 받은 것을 잘 압축해제한다.
PHP는 C:\lighttpd\php\php.exe,
MySQL은 C:\lighttpd\mysql\bin\mysql.exe,
Perl은 C:\lighttpd\perl\bin\perl.exe이 오도록 한다. (필자는 설치버전으로 깔았기 때문에 저기엔 없지만 perl.exe의 위치는 잘 알고 있어서 c:\perl\bin\perl.exe라고 적을 능력이 된다 -_-)
C:\lighttpd\htdocs에는 phpMyAdmin을 넣어도 됨.
3) lighttpd.con파일 수정.
C:\lighttpd\etc\lighttpd.conf를 메모장 같은 텍스트 편집기로 열어서
cgi.assign = (
".php" => "c:/lighttpd/php/php-cgi.exe",
".pl" => "c:/lighttpd/perl/bin/perl.exe",
".cgi" => "c:/lighttpd/perl/bin/perl.exe"
)
라고 적는다. 그리고 그보다 조금 밑으로 가면, 여러가지 mod_xxxx라는 것들이 보일 것이다.
mod_cgi, mod_fastcgi, mod_ssi를 켠다. mod_compress를 켜고 싶지만 그건 켜면 lighttpd가 작동을 거부한다. (윈도우로 포팅되면서 생긴 문제인 듯.)
디렉토리에 어떤 파일이 있는지 공개하고 싶으면
dir-listing.activate = "enable"
라고 적으면 된다. 보안상 비추천이지만, http로 파일을 공유하고 싶다면 그렇게 해도 좋다.
4) php설정:
C:\lighttpd\php\php.ini-dist를 php.ini로 이름 변경하고 수정한다.
설정에 오류가 있는데, "extension_dir"를 "./"에서 "./ext"로 변경한다.
"register_globals"는 "On"으로 수정.
그 외 확장 기능이 뭐가 사용되는게 좋을지 설정하는 부분이 있다.
Windows Extensions라고 된 부분인데, 적어도
mbstring, curl, imap, mysql, openssl
은 켜는 것이 좋다. 이 외 사용하고 싶은 기능이 있다면 켜둔다.
5) MySQL설정.
C:\lighttpd\mysql\bin\mysqld-nt.exe
를 실행시키면 MySQL데몬이 실행된다.
이제 root 비번을 정해주자.
도스에서,
mysql -u root
를 쳐서 mysql에 접속하고,
set password = password("사용하고싶은비밀번호");
명령을 내려서 비번을 지정해주자.
6) Lighttpd를 시작해본다!
info.php를 만들어서
<?PHP phpinfo(); ?>
라고 집어넣고 테스트 해보니 PHP도 잘 된다.
7. phpMyAdmin도 원한다면 적당히 설정한다. -_-;;; 요즘 phpMyAdmin은 설정하기 매우 쉽다. 설치스크립트를 돌리면서 시키는대로만 하면 되니까 :D... phpMyAdmin 로그인을 cookie를 쓰는 방법으로 하게 했는데 버그인지 알 수 없는 이유로, 그냥 phpMyAdmin으로 접속하려고 하면 root로 접속을 시도한 뒤 로그인 할 수 없다고 그런다. 새 창에 phpmyadmin띄우기를 클릭하면 그제서야 되도록 된다. -_-;;
제로보드도 잘 돌아간다. 자기 컴퓨터에 웹서버를 돌려볼 때 phpMyAdmin이외의 가장 만만한 것이 제로보드라서 대충 해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