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MP서버 (Linux Apache Mysql PHP)로 설치했다면
기본적으로 아파치가 돌아가고 있다.
하지만 설정이 엉망이다.
보통의 다른 Unix계통 OS와 달리 우분투에서는 httpd.conf가 아닌
/etc/apache2/apache2.conf
를 수정하게 된다.
모듈도 다른 방식으로 설치하는 모양이다...a
아파치 최신버전은 저 스타일인가...
그리고 documents디렉토리역시 다른 곳에서 바뀐다.
일단 sites-available에 virtual서버를 추가한 다음
sites-enabled에 소프트링크를 거는 모양이다.
가장 간단하고 얍삽하게, sites-available의 default를 변경하면
디폴트 /var/www인 다큐먼트 루트를 변경할 수 있다.
홈디렉토리의 public_html사용 :
솔라리스 10 에서 컨닝하여 /etc/apache2/sites-available/default 등에 다음을 삽입했다.
<Directory /home/*/public_html>
AllowOverride FileInfo AuthConfig Limit Indexes
Options MultiViews Indexes SymLinksIfOwnerMatch IncludesNoExec
<Limit GET POST OPTIONS PROPFIND>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Limit>
<LimitExcept GET POST OPTIONS PROPFIND>
Order deny,allow
Deny from all
</LimitExcept>
</Directory>
P.S
요즘에는 명령어를 쳐야 user_dir 모듈이 켜진다..?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t=17457
# a2enmod userdir
# a2enmod user_dir
둘 중 하나. 필자는 위의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