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바라는 것을 쓰면 가능하다.
어쩐지 구글에서 삼바를 치면 춤 삼바가 나오는 것이 아니라 이 samba.org가 1순위로 나온다 (-_-ㅋㅋ)
삼바 사이트에 들어가보면 윈도우를 더 넓은 세계로 데려온다고 되어있다. 필자는 그 반대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_-... 리눅스를 윈도우에 연결시킨다고 -0-...
일단, 윈도우에서 파일 공유를 위한 설정을 잘 해둔다.
그에 따라 윈도우가 쓰는 네트워크가 WORKGROUP인지 MSHOME인지 잘 정해야 한다.
페도라의 경우.
System setting -> Server setting에 삼바서버가 있다. 그걸 실행.
일단은 Add share로 공유할 디렉토리를 고른다. Visible을 골라서 다른 컴퓨터에 보이게 해준다. Writable을 고르면 다른 컴퓨터에서도 파일 수정/기록도 가능해진다. 접근 탭에서 모든 사용자에게 접근 허가를 해준다.
preference -> Server Setting에서 여러 옵션을 조정. 작업 그룹은 MSHOME등으로 적당히. 설명은 이 컴퓨터에 대한 것을 해준다. '방에 있는 컴퓨터' 따위로. 보안탭은 인증모드를 사용자로 그냥 놔두고... 중요한 점.
"미등록된 사용자 계정"이라고 되어있는데 이건 좀 더 알아듣기 쉬운 말로 하면 '게스트'다. 게스트가 접근하면 어떤 ID와 동일시 할 것인지를 지정하는 곳이다. 보안에 신경쓰지 않고, 공유도 아무거나 팍팍 하고 싶다면 그냥 root를 걸어버리면(!) 된다 (!!!???)
LISa데몬도 실행해야 함. 그래야 윈도우에서 볼 때 MSHOME에서 컴퓨터가 보인다. Default로는 자동실행하지 않음으로 되어있다. 시작 -> system settings -> server settings에서 services에서 lisa를 찾아 부팅되면서 실행되게 체크 해줘야 한다. smb도 마찬가지...-_-;; 또... LISa도 설정을 해야 한다. 시작 -> control center로 들어간다. Internet & Network의 Local Network Browsing에서 LISa Daemon 설정을 Suggest Settings로 하면 아마 맞게 될 것이다. 안 되면 구글에서 LISa daemon에 대해 찾아볼 수 밖에. Windows Shares에서는 MS Windows 인코딩을 koi8-r (러시아어인가 -0-) 에서 euckr로 놓는다.
이번에는 제어판에서의 삼바 설정이다. 필자의 경우에는 아예 루트로 로그인 해서 설정해야 했다... 혹시 안되면 루트로 로그인 해서 설정해보시길..
Workgroup을 잘 설정.
NetBIOS name은 이 컴퓨터의 ID로 적당히 준다. PC1이런 식으로.
Server String도 비슷하게.
Security Level이 문제인데, 윈도우즈 식으로 다른 컴퓨터와 그 컴퓨터가 가진 파일이 쭉 보이게 하려면 Share로 놓는다.
Users메뉴로 들어간다. 거기에 보면 Unix Users라고 사용자가 쭉 보일테고, 잘 찾아보면 nobody가 있다. 이게 게스트 계정이다. Add한 다음, Disabled체크박스를 해제해준다. 게스트 계정을 root로 간주할 하게 설정을 해주었다면 root도 추가시켜야 한다.
성공적으로 다른 컴퓨터도 보이고, 윈 XP에서도 인식되면, 마운트하기가 가능하다.
http://julien.herbin.ecranbleu.org/howto/samba_client_howto.html
테스트로...
smbclient -L 컴퓨터이름
해서 이게 작동이 잘 되면, /etc/fstab에다가
<file system> <mount point> <type> <options> <dump> <pass>
//fraise/UtilZ /mnt/smb_UtilZ_on_Fraise smbfs password=,ro,fmask=755,dmask=755 0 0
//fraise/Upload /mnt/smb_Upload_on_Fraise smbfs password=,fmask=777,dmask=777 0 0
이런 식으로 추가하면 mount 명령어로 쉽게 마운트, 언마운트가 된다. 단... 그건 루트일때만 된다 -0-;; 마운트는 아니더라도, KDE에서는 System의 Remote Places -> Samba Sahres에서, Gnome에서는 네트워크던가... 거기로 통하면 윈도우 컴퓨터를 볼 수 있다.
한컴리눅스는 삼바 설정이 이미 윈도우와 호환이 매우 쉽게 거의 다 되어있다. WorkGroup만 제대로 맞추면 작동이 바로 되는 수준.
주의사항.
*컴퓨터 이름이 localhost로만 되어 있으면 윈도우에서 리눅스로 접근할 수 없다.
시작 -> System Settings -> Network에서 DNS의 호스트명을 잘 설정해줘야 한다.
또는, /etc/sysconfig/network를 수정해준다.
*윈도우즈 마냥 아무 디렉토리나 공유시킬 수 있지 않다. /root를 공유시키면, 게스트를 root처럼 간주하게 설정하지 않은 한 접근이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