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략 더 나은 글이자 출처
http://blog.naver.com/wowzoo/50001641272
KBench에서 스크린샷은 끌어온 모양이다 -0-
본 필자도 직접 스크린샷을 찍을 의지가 없으므로
도용하겠다 Orz;;
리눅스에 XDMCP와 VNC가 있는데, 윈도우라고 그런게 없으리요 -_-...
윈XP부터는 원격조종이라는 것이 보조프로그램에 보이기 시작했다.
(시작 -> 실행 -> mstsc로 하면 간편하다.)
(윈 2000은 숨어있는 것 같은데 확인해보진 않았다. 아니면 설치해야 하던가...)
그런데 윈도우에 기본 장착된 원격제어는
1. 로그인을 원격에서 하는데, 로그인을 위한 윈도우 계정이 미리 만들어져 있어야 하고
2. 이미 진행중인 작업은 볼 수 없다. 윈도우의 원격제어 mstsc는 리눅스의 XDMCP와 유사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원격 로그인이지 원격 조종이 아니다.)
3. 포트를 레지스트리 에디트로 바꿨다면 그게 잘 적용이 안된다.
mstsc가 빠르긴 하지만원격 로그인이 아닌원격제어프로그램이 필요할 때가 있다.
PCAnywhere라는 상업 프로그램이 있지만 좀 그렇다 -0-;;
UltraVNC는 프리웨어이고, 그 크기도 작다.
(적어도, 원격에서 제어하는 쪽에서는)
1.http://ultravnc.sourceforge.net에 접속,
Ultr@VNCsetup이라고 된 것을 받는다.
2. 제어될 쪽에 설치한다.

* Select Components쪽에서는 몽땅 설치한다.
* Select Additional Tasks에서는
Configure MS-Logon II
Configure Admin Properties
를 제외한 나머지를 다 선택한다. 위 두개는 손 댈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단, 데스크탑 아이콘이나, .vnc파일 연결은 자유...

필자가 건드린 설정에는 다 네모를 쳤다.
포트 잘 설정해야 하고... Main은 전용 접속 프로그램으로 볼 때의 포트,
http는 Java Viewer라는 것으로 볼 때의 포트이다.
포트를 뚫었으면공유기는 물론윈도우 방화벽에서도 뚫어야 한다.
VNC Password는 원격 접속을 할 때 묻는 암호이다.
밑의 마이크로소프트 로그온 기능은 다 껐다. MS 로그인이 싫어서 Ultra VNC를 쓰는건데 -_-;;
*자바뷰어:http://123.456.789.123:999이런 식으로 IP주소와 포트를 입력해 브라우저로 접속하면 바로 제어할 수 있는 기능.
재부팅을 한번 해줘도 좋다. 안 해도 되는 것 같지만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