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까다롭고 복잡한 것이 클라이언트 쪽 설정이 아닐까 한다.
1. 서버와 싱크로가 맞게 설정되어야 하고,
2. 친구는 바보라서(?) 시키는 대로 못 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어쨌든 해보자.
시작 -> 보조 프로그램 -> 통신 -> 새 연결 마법사
(서버 설정에서 제어판에서 네트워크 들어가서 새 연결 마법사 한 것과 똑같다. ㅡ,.ㅡ;;)
회사 네트워크에 연결을 선택하고 다음
VPN을 하겠다고 한 다음 다음
이름엔 아무거나 알아보기 예쁜 이름으로 지어준다.
IP주소에는 서버쪽의 IP를 적어준다.
여기까진 쉽다.
일단, 이렇게 새로 만들어진 연결에 대해 방화벽을 없애야 한다.
방화벽의 고급 탭에서 VPN에 대한 것은 체크를 해제한다.
상대방도 공유기를 쓰면 TCP포트 1723을 열라고 시킨다.
아직까진 쉬운 step.
새로 생긴 VPN연결에 대해 등록정보를 본다.
TCP/IP 등록정보 중 고급버튼을 눌러서
DNS1순위를 192.168.1.1 (공유기 IP)
DNS2순위를 192.168.1.101 (서버로 쓰는 컴의 가상 IP) 로 준다.
그리고 DNS에 이 연결의 주소를 등록을 체크해주면 설정 끝.
(DNS쪽은 잘 모르겠다... IP는 치지 않고 그냥 체크박스만 잘 해주면 되는 것 같기도.)
접속이 잘 되었으면 서로 가상IP를 통해 ping을 날릴 수 있다.
(가상IP는 트레이의 연결 정보를 보아 알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이름
혹은 \\가상IP
ex) \\arin
ex) \\192.168.1.121
를 치면 그 컴퓨터의 공유된 폴더가 보여야 한다.
Trouble Shooting
에러코드 773인가 하는 것: 싱크로율 문제. IPX/SPX프로토콜 어쩌구 하는 메시지가 뜨면 양쪽 다 IPX/SPX를 쓰든지 말든지 통일 할 것. 그런 것이 아니라면, 서버쪽에서 IP를 어떻게 할당해주는지 문제일 확률이 있다. DHCP로 할당시킨다로 설정했으면 "VPN - 서버 설정"편을 보아서 거기에 나온는 대로 IP대역을 할당해주기 바란다.
에러코드 937인가 하는 것: IP와 좀 관련 있음. DNS설정을 잘 해주면 해결된다.
친구의 컴퓨터가 네트워크의 컴퓨터 목록에 안 보여요:
1. DNS문제다. 좀 가지고 놀아보고, "DNS에 이 연결의 주소를 등록"체크박스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2. 컴퓨터의 작업그룹을 통일한다. 내 컴퓨터 -> 등록정보 -> 컴퓨터 이름 -> 변경 버튼
을 누르면 작업그룹과, 컴퓨터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3. 그래도 필자는 아직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설정따라 클라이언트에선 호스트도 보이곤 하는데, 호스트에서 클라이언트는 보이지 않는다. WINS서버를 돌리면 될지도 모르겠으나, 윈도우 XP에는 그 것이 없다.
기타: http://www.chicagotech.net/vpnerrors.htm
1. 서버와 싱크로가 맞게 설정되어야 하고,
2. 친구는 바보라서(?) 시키는 대로 못 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어쨌든 해보자.
시작 -> 보조 프로그램 -> 통신 -> 새 연결 마법사
(서버 설정에서 제어판에서 네트워크 들어가서 새 연결 마법사 한 것과 똑같다. ㅡ,.ㅡ;;)
회사 네트워크에 연결을 선택하고 다음
VPN을 하겠다고 한 다음 다음
이름엔 아무거나 알아보기 예쁜 이름으로 지어준다.
IP주소에는 서버쪽의 IP를 적어준다.
여기까진 쉽다.
일단, 이렇게 새로 만들어진 연결에 대해 방화벽을 없애야 한다.

방화벽의 고급 탭에서 VPN에 대한 것은 체크를 해제한다.
상대방도 공유기를 쓰면 TCP포트 1723을 열라고 시킨다.
아직까진 쉬운 step.
새로 생긴 VPN연결에 대해 등록정보를 본다.

설정 버튼을 눌러서 나오는 체크박스는 다 체크한다.

TCP/IP 등록정보 중 고급버튼을 눌러서
DNS1순위를 192.168.1.1 (공유기 IP)
DNS2순위를 192.168.1.101 (서버로 쓰는 컴의 가상 IP) 로 준다.
그리고 DNS에 이 연결의 주소를 등록을 체크해주면 설정 끝.
(DNS쪽은 잘 모르겠다... IP는 치지 않고 그냥 체크박스만 잘 해주면 되는 것 같기도.)
접속이 잘 되었으면 서로 가상IP를 통해 ping을 날릴 수 있다.
(가상IP는 트레이의 연결 정보를 보아 알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이름
혹은 \\가상IP
ex) \\arin
ex) \\192.168.1.121
를 치면 그 컴퓨터의 공유된 폴더가 보여야 한다.
Trouble Shooting
에러코드 773인가 하는 것: 싱크로율 문제. IPX/SPX프로토콜 어쩌구 하는 메시지가 뜨면 양쪽 다 IPX/SPX를 쓰든지 말든지 통일 할 것. 그런 것이 아니라면, 서버쪽에서 IP를 어떻게 할당해주는지 문제일 확률이 있다. DHCP로 할당시킨다로 설정했으면 "VPN - 서버 설정"편을 보아서 거기에 나온는 대로 IP대역을 할당해주기 바란다.
에러코드 937인가 하는 것: IP와 좀 관련 있음. DNS설정을 잘 해주면 해결된다.
친구의 컴퓨터가 네트워크의 컴퓨터 목록에 안 보여요:
1. DNS문제다. 좀 가지고 놀아보고, "DNS에 이 연결의 주소를 등록"체크박스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2. 컴퓨터의 작업그룹을 통일한다. 내 컴퓨터 -> 등록정보 -> 컴퓨터 이름 -> 변경 버튼
을 누르면 작업그룹과, 컴퓨터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3. 그래도 필자는 아직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설정따라 클라이언트에선 호스트도 보이곤 하는데, 호스트에서 클라이언트는 보이지 않는다. WINS서버를 돌리면 될지도 모르겠으나, 윈도우 XP에는 그 것이 없다.
기타: http://www.chicagotech.net/vpnerrors.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