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53

리눅스의 가상 콘솔

도스는 그래픽 환경이 없고 명령어를 치는 화면만 있었다. (콘솔 화면)리눅스도 분명 그랬을텐데. 그 원시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을까? 방법1. init 3를 친다.방법2. 알트+컨트롤 F1을 누른다. 그러나 리눅스와 같은 nix계열 운영체제는 도스와 다른 점이 있다. 바로 멀티태스킹 환경이다.도스같이 생겨서 명령어 하나 치게 생겼는데 대체 그게 어떻게 가능한가? 리눅스에는 가상 콘솔이란 것이 있다.init 3 상태에서도 멀티태스킹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배려인데...이게 바로콘솔은 알트+컨트롤+F1 ~ F6까지 있다.알트+컨트롤 F7은 그래픽 환경이다.알트+컨트롤 F8, F9를 누르면 분명 반응이 있긴 있는데 정체가 뭔지 모르겠다 -0-

Unix/Fedora Core 4 2006.02.27

Run Levels

1 - rc1.d - Single User Mode2 - rc2.d - Single User Mode with Networking3 - rc3.d - Multi-User Mode - boot up in text mode4 - rc4.d - Not yet Defined5 - rc5.d - Multi-User Mode - boot up in X Windows6 - rc6.d - Shutdown init 6을 치면 시스템이 shutdown되고, init 5는 보통 컴퓨터 전원을 넣어서 그래픽 로그인이 나올 때 사용되는 명령어다. 직접 부팅되게 설치 된 리눅스는 부팅 때 나오는 메시지를 잘 읽어보면 entering run level 5라는 말이 보일 것이다. 반면, 미리 만들어진 coLinux를 부팅시켜보면 런..

Unix/Fedora Core 4 2006.02.27

XDMCP로 원격 로그인 하기

리눅스에원격 로그인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원격 제어와는 다르다!!;;) 1. ssh나 telnet으로 접속하기. 이건 콘솔 화면으로 명령을 내릴 때 적합하다.2. XDMCP XDMCP는 그래픽 환경으로 원격 로그인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http://blog.naver.com/ssanzing2/140022121783 coLinux에서 GUI환경을 만드느라고 했어는데, 원래의 용도로 써보자.*그래픽 환경이니만큼 접속 네트워크 속도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0-;; 시작 -> system settings -> Login Screen을 선택한다. [일반 탭]바꿀 것 없다. 마음대로 하시오. [표준 환영 프로그램]이것도 알아서 하시오 -0- [그래픽 환영 프로그램]역시 알아서 하시오 -0- [보안]GDM으로 ..

Unix/Fedora Core 4 2006.02.27

yum -y update가 빨리 되게 하기

국내의 페도라 코어 미러를 이용하면 된다. 몇 군데 없지만... 필자가 아는 곳은 다음 두 곳이다.http://ftp.kreonet.re.kr/pub/Linux/fedora/core/http://ftp.kaist.ac.kr/pub/fedora/linux/core/나이스 카이스트 +_+ 중점을 두고 에디트 해야 하는 파일은 두개다. /etc/yum.repos.d/의 fedora.repo, fedora-updates.repo이 둘이다.vi로 에디트 해서, mirrorlist를 #로 주석처리 한 다음baseurl='적당한 url'로 설정한다. 필자의 경우...fedora.repo : baseurl=http://ftp.kaist.ac.kr/pub/fedora/linux/core/4/i386/os/fedora-u..

Unix/Fedora Core 4 2006.02.27

그래픽 드라이버 - 방법2

http://blog.naver.com/ssanzing2/140022128681여기에 나온 대로 rpm.livna.org의 리소스를 yum에 입력시킨다. yum install kernel-module-fglrx-$(uname -r)이렇게 하면 ati 관리자와, 커널에 맞는 커널모듈이 설치된다. (!)yum이 끝난 뒤# aticonfig --initial을 치면 설치 끝. 재부팅 한다. * 부작용인지 몰라도, aticonfig --initial을 한 뒤로부턴시작 -> system settings -> Display를 쓸 수 없게 되었다.cmd를 쳐서 에러 내역을 확인해보니... 뭔지는 잘 모르겠지만 뭐 -0-잘 되면 장땡이지;;

Unix/Fedora Core 4 2006.02.27

그래픽 드라이버 - 방법 1

필자는 ATI의 라데온을 쓴다. 정확히 어느 것을 쓰는지는 비공개 -0-;드라이버를 설치하는 방법은 두가지다. 일단은 공식 드라이버를 생각해볼 수 있겠다. 그래서 ATI공식사이트에 갔다.매우 감동적이게, Drivers & Softwares를 선택하니Linux가 있다. (우후후후) 그것을 클릭하면 Knowledge Database로 접속되는데,자신이 원하는 것을 자꾸 클릭하면 된다.Linux Display Drivers and Software Linux x86RADEON 8500 Series and higherFireGL SeriesMotherboards with ATI GraphicsNotebooks with ATI Graphics이 중에서는 당연히 라데온.그 다음에 주어지는 옵션은 하나 밖에 없다. X..

Unix/Fedora Core 4 2006.02.27

크로크 케이블로 인터넷 되게 하기

별 것 없다. coLinux에서 이미 다 다루었다. 먼저 인터넷을 제공 할 컴퓨터는, coLinux의 윈도우 쪽 설정을 참고하면 된다.http://blog.naver.com/ssanzing2/140022120142 Colin01 = 다른 컴퓨터와 연결되는 케이블Buffalo = 인터넷을 제공해주는 케이블이렇게 생각하고 하면 동일하다. 인터넷을 제공받은 컴퓨터 쪽도 coLinux쪽과 똑같이 하면 된다. (켁)실제컴퓨터나 가상컴퓨터나 컴퓨터한테는 그게 그것 -_-...

Unix/Fedora Core 4 2006.02.27

커널 컴파일 하기 - 2: 대충 Outline

'서자룡의 리눅스9+ 그대로 따라하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대충. 1. make mrproper2. make menuconfig3. make dep4. make clean5. make bzimage6. make install7. make modules8. make modules_install 훗 -_-; 페도라코어는 이 이전에 사전 작업을 조금 해야 한다.커널컴파일은 각자 조사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왜냐... 필자는 LFS만들 때 외에 커널 컴파일을 해본 일이 없다. (OTL) LFS:http://www.linuxfromscratch.org/(Linux from Scratch)

Unix/Fedora Core 4 2006.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