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충 명령어
|
|왼쪽에 적힌 명령의 출력이 오른쪽에 적힌 명령에 의해 처리되어 출력된다.
ex) ps ax | grep xine
;
여러 명령을 순차적으로 수행.
ex) make ; make install
&&
논리 기호임. and이다. c 프로그래밍을 해보면 알겠지만, 잘 짠 프로그램이라면 main함수에 return값이 있다. 프로그램의 리턴값을 가지고 이렇게 할 수 있다.
make && make install
make를 해서 성공(0)이 나오면 &&(and)조건이 만족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make install단계로 넘어가고, 실패(non-zero)가 리턴되면 make install이 되지 않는다.
알트컨트롤+D: 윈도우 키 대신... 윈도우의 바탕화면 보기와 유사한 기능. kde제어판에서 윈도우 d로 만드는 것도 가능함.
cp, mkdir따위는 뭐 안 다루겠다. -0-
rm -rf xxx
xxx란 디렉토리 삭제 (-_-!)
r은 recursive하게 다 삭제하는데... f를 누르면 force 삭제겠지. 일일이 묻지 않고 다 지우기.
~
사용자의 Home 디렉터리. cd ~를 많이 쓰게 된다.
vi 명령어
insert키를 누르면 수정 시작... 어떤 버전은 안 그런데. 그 땐 a키다. 열심히 수정하고, esc키를 누르고, 쉬프트+;를 누른 이후...
d -> 한 줄 삭제.
q -> 종료. 파일이 수정 되면 종료가 안 된다. 그땐...
q! -> quit without saving
wq -> write and quit
cat 명령어
caternate.
cat [파일명]
cat README라고 하면 README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한다.
wget - 인터넷에서 URL로 주어진 것을 다운로드 받기. 모질라나 불여우에서 텍스트 파일을 다운받지 못 할 때가 있는데,
RPM관련
rpm -Uvh xxx : 업그레이드
rpm -qv xxx : 설치 되었는지 query
rpm -ivh xxx : 설치
rpm -qpl xxx : 어디 설치되나 보기. 설치 전의 rpm파일에 대한 정보를 보는것임.
rpm -ql xxx : 이미 설치된 xxx가 어디에 어느 파일이 있는지 정보 보기.
rpm -qa | grep xxx : xxx가 이름에 들어가 있는 패키지 보기.
소스에서 설치하는 경우
./configure
make
make install
이 세 줄이면 보통은 된다. 각 줄당 기능:
설정
컴파일
컴파일 된 파일의 배치
sudo
root의 권한을 가지고 어떤 작업을 하기... 일단은 chmod로 +w속성을 /etc/sudoers에 주어야 하며, 사용자 추가가 끝나면, 속성을 다시 0440으로 주어야 한다. 그래야만 sudo의 보안 조건이 만족됨 -0-;;
su
다른 유저로 로그인 한 것을 emulate. 그냥 su만 치고 엔트를 누르면 root이다.
yum
yum install libstdc++.so.5
이런 식으로 명령어를 주면 자동으로 업그레이드를 한다. dependency문제를 해결하는데 좋음.
yum upgrade xxx
를 하면 xxx가 업그레이드 되는데, yum upgrade라고만 치면 설치된 것을 모조리 검사해서 몽땅 업데이트 한다.
man xxx
xxx에 대한 매뉴얼 보기. 명령어는 다 외우기 힘드니까 매뉴얼 페이지가 제공된다.
chmod
파일 속성 변경. 실행 권한 이런 것 뿐 아니라 read only인지도 여기서 정해진다.
chmod +w xxx : 쓸 수 있는 파일 속성을 준다.
chmod -w xxx : 쓸 수 있는 파일 속성을 없앤다. (read only로 만들기)
플러스, 마이너스로 속성이 이루어지는 것 +_+
ps ax | grep msn -> x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도 표시하는데, a.. all... 데몬도 숨김없이 다 보여준다.
pwd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의 full path를 본다.
uname -r
현재 리눅스 커널의 버전을 본다. -r대신 -a를 적으면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다.